일본이니가타현 사도(佐渡)섬에 있는 사도광산이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이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1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니가타현 측은 이와 관련해 “(사도광산에서) 한반도 출신자가 일한 사실은 있지만 강제 노동했는지에 대해서는 자료와 기록이 없고, 파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문화청의 문화심의회는 사도광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추천할 후보로 선정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록 신청서를 다음달 1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추천을 요구하는 자민당 보수 성향 의원들과 한국의 반발을 우려한 외무성 간 마찰이 빚어져 난항을 겪게 될 전망이다.
자민당의 극우파 의원들로 구성된 ‘보수 단결 모임’은 18일 국회 내에서 만나 정부에 조기 추천 등을 요구키로 결의했다. 회동에는 니가타현 간부들과 사도시장이 참석했으며 이들은 “(사도광산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증명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일본 정부 측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추천이 한일관계의 새로운 악재가 될 수 있고 하시마섬(端島·군함도)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일본 문화청은 심의회 추천에 대해 이례적으로 “앞으로 정부 내에서 종합적인 검토를 실시하겠다”고 대응했고,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은 “등록을 실현하는데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가라는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추천 여부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국내에서는 이에 대해 역사왜곡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앞서고 있다.
일본은 군함도 등재 시 한국인 강제노력 사실을 제대로 알리겠다고 약속한 뒤 이행하지 않은 바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본의 한 외무성 간부는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하면 한국이 다시 국제 사회에서 일방적인 주장을 펼 수 있다”고 말했고, 아베 신조 전 총리도 “(한국 측에) 사실에 근거해서 반박해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사도광산은 1601년 금맥이 발견된 후 일본 에도막부의 중요한 재정원으로 통했다. 현재는 채굴을 중지한 상태다. 갱도의 길이가 400㎞에 달하는데 이 중 300m 가량이 관광 루트로 공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