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 정부 셧다운이 곧 종료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미 전역 공항에서 ‘항공 대란’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11일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숀 더피 미국 교통부 장관은 시카고 국제공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항공사 및 연방항공국 논의와 항공 교통 관제사들 상황을 종합할 때 공역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부 셧다운이 종료될 경우 항공편 제한 조치를 해제할지는 밝히지 않았다.
정부가 재개돼도 관제사들이 즉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며, 항공기 간 근접 사고 빈도와 관제사 부족으로 인한 지연 발생률 등을 포함한 데이터가 개선돼야 제한 조치를 철회하겠다고 했다.
하원이 법안을 신속히 통과시키지 않으면 주말까지 항공편이 심각한 수준으로 지연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일부 항공사가 운항을 전면 중단할 수도 있다고 했다.
다만 “관제사들이 셧다운 종료를 목전에 두고 희망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며 “하원이 내일 제 역할을 한다면 항공 여행이 정상화되고 취소편이 줄어드는 길로 접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셧다운 종료 후 24~48시간 내 미지급 급여 약 70%를 받게 되고, 나머지는 일주일 내 수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더피 장관은 설명했다.
교통부와 연방항공국(FAA)은 지난주 전국 40개 공항 항공편을 강제 감축하라고 명령했다. 미 전역 항공편은 7일 4%로 시작해 이날 6% 감소했다. 주말까지 최대 10% 감축될 전망이다.
연방 정부 셧다운으로 관제사들은 강제 무급 근무에 들어갔고, 일부는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해 퇴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셧다운 기간 만근한 관제사에게 1만 달러(약 1500만원) 보너스를 지급하겠다고 제안했다. 결근한 관제사들은 해고하겠다고 협박했다.
닉 대니얼스 전미항공관제사협회(NATCA) 회장은 CNN과 인터뷰에서 셧다운 영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으려면 정부가 관제사를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미 상원은 셧다운 41일째인 전날 찬성 60대 반대 40표로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농무부, 보훈부, 의회 운영 등에 대한 연간 예산을 배정하고 나머지 기관은 내년 1월 30일까지 임시 예산을 지원하는 걸 골자로 한다.
셧다운 기간 해고된 연방 공무원들의 복귀 보장과 오바마케어(ACA·전국민건강보험) 보험료 세액공제 연장 표결을 추후 실시한다는 조항도 포함됐다.
하원 규칙위원회는 정부 재개를 위한 상원 임시 예산안을 심의 중이다. 위원회가 승인하면 이르면 12일 본회의에서 표결이 진행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