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4일 “한미 양국 간 협상을 위해 산업부 장관을 중심으로 협상단을 구성하고 빠른 시일 내 방미를 추진해 본격적인 협상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날 오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경제안보전략TF(태스크포스)를 주재해 “관세 외에 에너지, 조선 협력 강화 등 양국의 관심 사항을 고려해 장관급 및 각급 협의 등을 신속히 추진하고 상호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합의점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한 대행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의 협상 방향에 대한 설명에 매우 만족해 하며 한국·일본·인도 3개국과는 ‘즉각 협상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것 같다”며 “조선·액화천연가스(LNG)·무역 균형 3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필요한 경우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을 통해서 해결점을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며 “양국 간에 일단 논의를 이어가기 위한 우호적인 모멘텀이 형성이 됐기 때문에 양국 정부는 앞으로 양국 간 통상 협상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관세로 인한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능력을 다 해 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국내적으로는 “우리 기업들이 처한 어려움을 완화시키기 위한 경제 부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도 계속 가동하겠다”며 “우선 산업부 장관을 중심으로 협상단을 구성하고 빠른 시일 내에 집중해서 상의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또 “관세 유예에 LNG 조선 협력 방안 양쪽의 관심 사항을 고려해서 장관급 협의 중 각급에서 협의를 계속하면서 합의점을 찾아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대행은 “정부 각 부처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제도와 관행은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노력을 하겠다”며 “이런 불합리한 규제를 과감히 걷어냄으로써 우리 기업도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외국 기업의 투자와 국내 진출을 더욱 활성화해 나가도록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
한 대행은 “앞으로 미국 측과의 협상 과정이 반드시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민간과 계속해서 긴밀히 소통하면서 협상 과정에서 우리 기업이 겪을 어려움이 최소화 되도록 노력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TF 회의에서 경제계는 민간이 갖고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동향을 지속해서 파악하면서 정부와도 정보를 공유하는 등 위기 극복을 위해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또 한국기업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많은 설비·장비 등이 공급되는 만큼 이에 대해서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도록 미측과 적극 협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