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앞으로 두 달 안으로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에 맞춰 조기 대선 체제로 당을 전환한다.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 달 초까지는 대선 후보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는 5일 공개 일정 없이 숨을 고르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6일에는 의원총회를 열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정국 수습 방안과 대선 체제로의 전환 등에 관한 총의를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첫 비상대책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오는 7일에는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구성을 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관위가 공식 출범한 이후에는 본격적인 경선 레이스도 시작된다. 다음 주 초에 후보등록 개시를 공고하면 대선주자들도 정식으로 후원회를 꾸리고 선거운동에 나설 수 있다.
선관위에서는 경선 룰과 컷오프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게 된다.
다만 현 상황에서는 당헌에 명시된 룰을 손댈 여유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본경선에서는 당원으로 꾸린 선거인단 투표(50%), 일반국민 여론조사(50%)를 반영해 최다 득표자를 가리게 된다. 당심과 민심을 절반씩 담자는 취지다.
경선 기간은 3주 안팎으로 매듭지어질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선거일까지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후보를 정한다는 차원이다.
현재 여권 내 대선주자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거론된다.
잠재적 대선주자로 꼽히는 나경원 의원과 김태흠 충남지사, 박형준 부산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등 지자체장을 포함하면 후보가 10여명은 족히 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시간은 촉박하지만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라며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키고 가꿔온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기 때문이다. 승리를 위해 우리부터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