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100일을 앞두고 하락을 면치 못하는 모습이다. ‘시그니처 무기’ 관세를 두고도 부정 평가가 잇따른다.
퓨리서치센터가 23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40%로 나타났다. 지난 2월 같은 조사 대비 7%p 하락한 수치다. 반면 국정 수행 부정 평가는 59%로, 이전 조사 대비 8%p 올랐다.
현재 국정 수행 지지율은 동기간 전임자들에 비해 확연히 낮은 편이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경우 2021년 4월 국정 수행 지지율이 59%였다.
조사에 따르면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이후 이 시점 지지율이 50% 이하였던 미국 대통령은 1993년 빌 클린턴 전 대통령(49%) 뿐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야심차게 내민 관세 인상 카드가 박한 평가를 얻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9%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인상에 반대했고, 해당 조치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39%에 그쳤다.
연방 부처·기관 축소 조치도 좋은 평가를 얻지 못했다. 조사 응답자 55%는 행정부의 연방정부 축소 행보를 부정 평가했고, 긍정 평가한 응답은 44% 수준이었다.
응답자의 59%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연방정부 축소 계획 및 그 이행 방식이 부주의하다고 평가했다. 51%는 감축으로 정부 운영이 악화하리라고 봤고, 48%는 이런 조치가 결국 미국 국민의 비용으로 이어지리라고 봤다.
아울러 응답자 51%는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너무 많은 정책을 설정한다고 답했다. 발렛피디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이후 현재까지 총 130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무더기 행정명령에 따른 소송을 두고는 응답자 78%가 명령에 반(反)하는 법원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했다. 대법원 결정일 경우 88%가 따라야 한다고 응답했다. 법원 결정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고 응답한 이들은 19%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45%는 지금으로부터 1년 뒤 미국의 경제 상황이 악화하리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49%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미국의 국제 무대 입지를 약화한다고 평가했다. 강화한다는 응답은 39%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13일 미국 전국 성인 3589명을 상대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1.8%p다.
관련기사 관세 여파 트럼프 지지율 43%…2기 출범 후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