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발표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대적인 관세가 오히려 미국 경제와 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분석을 미 언론이 내놓고 있다.
31일 CNN은 “세계 무역 체제를 변화시키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장 강력한 움직임은 결국 모든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쳐 물가를 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로 미국 제조업을 부흥시켜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미 높은 생활비에 지친 상황에 물가가 더욱 치솟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워싱턴포스트(WP)도 경제학자들을 인용해 “이번 조치가 경제 전반 가격을 빠르게 상승시켜 식품, 자동차, 전자제품, 의류 및 기타 일상 구매 품목 가격을 상당히 비싸게 만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소비자들은 경제 불확실성에 이미 소비를 줄이고 있다. 지난달 17일 미국 인구조사국이 발표한 2월 소매 및 식품 서비스 판매량 추이에선 2월 자동차, 전자제품 등 다양한 품목 지출이 전월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NN은 방향 전환 효과를 보기까지 수년이 걸린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기간보다 더 걸릴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 바람대로 기업이 공장을 미국으로 가져올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고 봤다.
특히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가 결국 미국 자동차 산업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CNN은 “(자동차) 제조 공정은 멕시코 및 캐나다 공장과 깊이 통합돼 있고, 수년간 신차 가격이 수천 달러 높아져 일자리 감축 위험이 있다”고 전망했다.
제조업 부흥 정책이 서비스 산업과 기술, 인공지능(AI)에 기반한 경쟁 우위와 경제력을 갖춘 현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점도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워싱턴 백악관 경내 정원인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상호 관세 대상과 규모를 발표할 예정이다.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게 아닌 광범위한 관세 부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교역국에 최대 2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