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2기 행정부가 90일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한국·일본 등과 우선협상을 벌일 전망이다. 한국과의 협상은 내주주 본격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향후 신규 무역 합의를 위한 협상에서 한국, 일본, 인도, 호주, 영국 5개국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5개국은 협상 최우선 대상으로, 베선트 장관이 이미 당국자들과 접촉했다. 일본에서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이 16일부터 미국을 방문해 베선트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난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및 유예 국면에서 행정부 내 가장 무게감 있는 조언자로 떠올랐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유예하자마자 협상을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고 한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상호관세와 관련해 “10곳이 넘는 국가에서 매우 좋고 놀라운 제안을 받았다”며 “거래가 충분히 좋은지 고민 중”이라고 했다.
한국의 경우 내주께 본격적인 협상의 막이 오를 전망이다. 이와 관련, 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일본과는 이번 주, 한국과는 내주 논의를 시작하리라고 밝혔다. 그는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 국가”와의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여하리라고 예고하고, “처음으로 합의를 타결하는 자가 가장 좋은 합의를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빨리 합의를 이룰수록 유리하리라는 것이다.
다만 한국의 경우 관세와 방위비 분담금 등 안보 문제를 연계하는 통상·안보 패키지 딜이 체결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안보 문제를 관세 협상의 “한 부분으로 다룰 수 있다”라며 패키지를 언급한 상황이다.
협상의 범위가 관세를 중심으로 한 통상을 넘어 안보 영역으로 확대되며 90일의 유예 기간이 다소 촉박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단 한국 정부는 상호관세 완화를 우선 목표로 삼고 협상에 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