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 출산 늘면서 비자부터 병원, 산후조리원까지 ‘원스톱 서비스’까지
2020년 미국내 중국인 임산부 출산 10만 명 육박
원정 출산 포기, 이미 입국자 조산이나 캐나다 출산 고려 등 고민
대만 자유시보는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출생 시민권’ 폐지 행정명령을 내리면서 중국의 ‘미국내 출산 산업 생태계’가 흔들리고 있다며 집중 분석했다.
‘출생 시민권’은 수정헌법 14조에 따라 미국 영토내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동안 이 제도에 따라 중국 산모들이 미국에서 아이를 낳게 하는 과정은 비자 처리, 여행 준비, 의료 서비스, 산후조리원 안내, 법률 자문까지 ‘출산 산업 생태계’를 형성했다.
일부에서는 불법 입국 등을 포함한 ‘원스톱 블랙마켓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트럼프의 전격 조치로 이 같은 ‘미국 내 출산 산업 사슬’은 중대한 영향을 받게 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 경제의 성장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중국 가족이 미국에서 아이를 낳는 것을 선택했다.
이는 아이의 미국 시민권 취득에 그치지 않고 자녀의 미래 교육, 취업, 가족의 추가 이주 등 많은 의미가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21세기 초부터 미국내 출산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비자 처리, 여행 준비, 의료 서비스, 산후조리원, 법률 서비스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함하는 성숙한 산업으로 변화해 왔다.
미국내에는 출산 원스톱 서비스 제공 기관도 등장했다.
미국내 출산 시장 호황으로 수많은 중개업체와 암시장 서비스도 생겨났다. 등록되지 않은 기관이 높은 수수료를 청구하고 심지어 사기를 저지르기도 한다.
자유시보는 태평양의 사이판이 중국인 임산부들의 출산을 위해 부상했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 등을 인용해 보도했다.
사이판은 2009년부터 중국인에게도 비자없이 입국할 수 있는 유일한 미국령이기 때문이다.
중국인 관광객이 비자 없이 14일 동안 머물수 있는 것을 이용해 일부 임산부가 출산을 위해 이곳으로 왔다.
사이판에 온 중국인 임산부에서 태어난 아이가 2009년 8명에 불과했다. 2012년 282명에서 2018년에는 574명으로 늘어 현지 주민의 출생아수를 넘었다.
미국 전체로는 2016년 약 6만 명의 중국 임산부가 미국에서 출산했으나 2020년 거의 10만 명으로 증가했다.
미국내 출산 비용은 비자, 항공권, 의료비, 산후조리원 서비스 비용 등을 포함해 5만~10만 달러 사이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2018년 미국 내 출산 시장 규모는 30억 달러를 돌파했는데 중국 가족들의 미국 시민권 수요 증가가 이 시장 성장의 큰 요인이었다.
중국인의 미국내 출산 증가는 미국의 의료 시스템에 부담을 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등 부작용이 제기됐다.
트럼프의 출생 시민권 폐지는 위헌 논란이 일고, 20개 주 이상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등 그대로 시행될 지는 미지수다.
그럼에도 과거처럼 미국내 출생이 곧 시민권 취득이 아닐 수도 있다는 불안이 중국인들에게 퍼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앞으로 4년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일부는 어떤 법적 환경의 변화가 올지 몰라 미국내 출산 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할 수도 있다.
트럼프의 행정명령 소식이 나온 뒤 미국으로 출산을 위해 떠나는 많은 중국 임산부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의 한 산부인과 센터 운영자는 행정 명령이 발표된 후 센터에 있는 엄마들이 태어날 아이 때문에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는 좀 더 빨리 출산하기 위해 조산을 유도하거나 캐나다에서 출산할 것을 고려하고 있기도 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관련기사 불체자 자녀 출생시민권 -원정출산 시민권 모두 즉각 폐지 트럼프, 행정명령 폭탄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