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내린 결정” 강조하며 美 압력 인상 불식 노력
파나마, 2017년 대만 단교 후 중남미 첫 일대일로 가입국
中 유엔 대사 “中 운하개입 주장은 완전 거짓”
파나마가 중국 대외 경제팽창 정책인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에서 탈퇴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파나마 호세 라울 물리노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베이징 주재 자국 대사관에서 중국 정부에 2017년 서명한 일대일로 탈퇴를 신청하는 ‘90일 사전 통지서’를 제출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물리노 대통령은 3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만나 중국과 맺은 일대일로 합의를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조기 종료 일정을 공개하지 않았다. 루비오 장관이 떠난 후 전격적으로 탈퇴를 발표한 것이다.
파나마는 2017년 대만과 국교를 단절한 뒤 중국과 수교하고 일대일로에 참여한 최초의 중남미 국가였다.
물리노 대통령은 “중국과 협정에 서명한 사람들의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이 협정이 수 년간 파나마에 무엇을 가져다주었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우리는 더 이상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것은 내가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논란과 압력으로 내린 조치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라노 대통령의 탈퇴 발표에 중국 유엔 대사 푸콩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그는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개입 주장은 완전히 거짓이고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푸콩 대사는 “중국은 운하의 관리나 운영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이 수로를 영구적이고 중립적인 국제 통로로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물리노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대한 우려도 언급했다.
미국이 1913년 운하를 건설한 뒤 1999년 파나마에 반환된 파나마 운하는 반환 조약에 따라 수로의 운영이 내부 갈등이나 외국 세력에 의해 방해를 받을 경우 미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트럼프는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져 ‘넘어갔다’며 되찾아 오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루비오 장관은 4일 물리노 대통령을 만나 “중국 공산당이 파나마 운하에 대한 효과적이고 확대되는 통제를 계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으며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반환 이후 2000년 이래로 파나마 운하청이 운하를 운영하지만 홍콩에 본사를 둔 대기업 CK 허치슨 홀딩스의 자회사인 ‘파나마 포트’가 2021년 운하의 대서양과 태평양쪽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물라노 대통령은 허치슨의 활동에 대해 포괄적인 감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잘못된 행위가 드러날 경우 조치를 취하겠지만 일방적인 계약 취소 등은 없을 것이라고 미국 관리들에게 말했다.
그는 “나는 대통령이자 법을 존중하는 변호사로서 자의적으로 계약을 취소할 권한이 없다”고 강조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7일 루비오 장관의 방문 이후 파나마 주재 중국 대사인 쉬쉐위안은 현지 신문 라 에스트렐라지 기고에서 “중국은 파나마에 두려움이 아닌 평등, 존중, 상호 이익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쉬 대사는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에 황금기를 만들고자 한다면 라틴 아메리카 인민들에게 그들이 어떤 시대를 원하는지 물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6일 물리노 대통령은 이날 취재진에게 미국 정부 선박에 대한 운하 통행료를 면제받았다는 미국 측의 주장을 “용납할 수 없는 거짓”이라며 “거짓과 허위 주장에 기반한 양국 관계를 거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