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투자자들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100%로 내다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 전 금리 인하를 반대한다고 발언한 것이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특히 ‘피격’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도 크게 뛰어오른 가운데, 그의 강경 정책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금리 인하에 방해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투자자들,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100%로 내다봐
16일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시카고금융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공개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100%에 달한다.
구체적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에 현재 기준금리(5.25%~5.50%)에서 0.25%p 내릴 확률이 93.3%다. 또 금리가 0.5%p 낮출 확률도 6.7%다.
금리 인하 정도에 대한 예측 차이는 있으나, 금리 인하 가능성 자체는 100%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일부 트레이더는 연준이 7월 금리 인하 등 연내 3차례 인하 가능성도 점치고 있는 상황이다.
주식·채권·금 가격 폭등…금리인하 기대 반영
예상대로 9월, 이르면 7월에도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기대는 주식·채권 시장에 드러나고 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2.76포인트(1.85%) 오른 4만954.48으로 거래를 마쳤다.
특히 다우지수는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5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상승 폭은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5.98포인트(0.64%) 뛴 5667.20로 장을 닫았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전장보다 36.77포인트(0.20%) 상승한 1만8509.34에 장을 마쳤다.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가 크면 낮아지는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금리)도 증시 마감 무렵 연 4.155%로 떨어져,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통상적으로 금리 예측에 따라 움직이는 2년 만기 국채 수익률(금리)도 4.428%로 떨어져, 이 역시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금 선물 가격 종가는 전장보다 1.6% 오른 온스당 2467.8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5월 기록된 최고점을 경신한 것이다.
파월, 금리 인하 시사… “인플레 2%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을 것”
이 같은 금리 인하 기대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때문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지난 15일 워싱턴경제클럽 연설에서 “지난주에 나온 지표 등 2분기에 나온 3차례의 지표를 통해 어느 정도의 자신감을 추가로 얻을 수 있었다”며 “금리를 인하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이 2%로 낮아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확신이 부족하다”며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었던 수개월 전과 달리,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음을 본격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 11월 대선 전 금리인하 반대…변수 될지 주목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오는 11월 예정된 대선 이전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선 안 된다고 경고함에 따라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변수가 될지 주목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CNBC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아마도 연준이 11월 대선 전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그들은 그것을 해선 안 되는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선 전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정치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이다.
특히 지난달 말 열린 ‘TV토론’과 피격 사건 등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가능성을 급격히 높이는 상황인 가운데, 그의 강경 정책이 세계 물가를 상승시켜 금리 인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CNBC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높은 관세가 수입 상품의 비용을 높여 국내 생산자의 가격 인상을 압박하고, 결국 물가 상승을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언한 대규모 감세 정책도 소비자 지출을 촉진해 인플레이션을 재촉발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운 ‘수입품에 대한 10%의 전면 관세와 중국 수입품에 대한 60% 이상의 관세’는 글로벌 무역 경색으로 이어져 전체 물가를 1~2%가량 높일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