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이재명 패배한 경선”
이재명 경기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의 제20대 대선 후보로 선출됐지만 후보직을 유지할 수 있을 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낙연 전 대표측이 사실상 경선 결과에 불복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나선데다 대장동 게이트의 파장이 이제서야 뒤늦게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민주당이 정권재창출을 위해서는 후보를 교체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질 가능성이 크다.
이 후보는 10일(한국시간) 민주당 대선후보 서울 대의원·권리당원 투표에서 51.45%(4만5737표·1위)를, 제3차 국민선거인단 투표에서 28.30%(7만441표·2위)를 얻어 최종 1위에 당선됐다. 최종 누적 득표율 50.29%(71만9905표)로 결선 투표 없이 대선에 직행하게 됐다.
그러나 3차 국민선거인단 투표(투표인원 24만8880명)에선 권리당원 투표 결과와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와 여론이급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날 국민선거인단 투표 결과는 이 후보의 대패였다.
권리당원 아닌 일반 국민들이 참가한 3차 국민선거인단 투표에서 이 후보는 이낙연 전 대표의 득표율(62.37%·15만5220표)의 절반도 되지 않은 28.30%를 기록했고, 누적 득표율 역시 전날 55.29%에서 50.29%로 5% 포인트 하락했다.
이낙연 캠프가 사실상의 경선 불복을 선언하고 나선 것은 중도 사퇴한 후보(정세균·김두관)의 득표수(2만8399표)때문이다.
이 두사람의 득표수를 유효 투표수에 산입할 경우, 이 후보의 득표율이 49.31%로 낮아져 결선 투표를 치러야 하는 ‘과반 미달’ 상태가 된다.
다만 이상민 당 선거관리위원장은 이에 대해 “(무효표 처리는) 당규에 있는 그대로 한 것”이라며 “59조 1항에 분명히 중도사퇴 후보는 무효처리한다고 돼 있고, 득표율 계산 방법인 60조 1항에도 분모가 ‘유효표’로 규정돼 있다”고 말했다.
이날 3차 국민선거인단 투표율은 81.39%로 2차의 59.66%에 비해 크게 상승한 것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이번 결과에 충격을 받고 있다.
중도성향이 가장 많은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 후보가 대패한 것은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의 정권 재창출 목표가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치형 기자>
관련기사 “이재명 득표율은 49.32%…결선투표 진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