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식료품 가격을 낮추겠다고 약속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이 오히려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CNN은 20일 미국의 식료품 가격이 3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치솟고 있다고 보도했다.
커피·토마토·사과 줄줄이 인상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커피 가격은 지난달 한 달 동안 3.6% 올라 2011년 이후 최대 월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무려 20.9% 급등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부터 브라질산 커피 등 주요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한 여파다.
과일·채소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사과와 상추 가격은 전달 대비 각각 3.5% 상승했고, 바나나는 2.1%, 토마토는 4.5% 올랐다. 특히 토마토는 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해 17.09%의 관세가 적용되면서 가격 인상이 두드러졌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현 수준의 관세가 유지될 경우 식품 가격이 단기적으로 3.4%, 장기적으로는 2.5%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단속 강화도 농업 현장에 타격을 주고 있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미국 내 농장 노동자의 42%가 미등록 이민자들인데, 이 단속 여파로 올 3~7월 농업 분야 고용은 6.5% 감소했다. 약 15만 명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캘리포니아 농장에서는 농작물이 수확되지 못하는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일·채소처럼 이민자 노동력에 크게 의존하는 품목과 커피·바나나처럼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허리케인, 가뭄 같은 기상이변은 오렌지와 소고기 등 주요 식품 가격을 끌어올렸다. 여기에 소비자 계층별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저소득층은 자체 브랜드(PB) 제품이나 소포장 상품으로 몰리고, 고소득층은 여전히 프리미엄 제품에 지출을 이어가는 양상이다.
미국 대형 슈퍼마켓 체인 크로거는 2023년 중단했던 종이 쿠폰을 부활시켰다. 소비자들이 식료품 비용을 줄이기 위해 판촉 행사와 할인 쿠폰에 다시 의존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가 안정과 식료품값 인하를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정책 효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CNN은 높은 관세와 이민 단속, 기후 위기 등 복합적 요인이 맞물리며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를 압박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