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명당이 26년간 연립정부를 구성해온 집권 자민당과의 ‘결별’을 선언하면서, 일본 정치는 여야 간 정권 경쟁 국면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이 제2·3야당인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에 당수회담을 제안하며 ‘야권 연대’에 시동을 건 가운데 차기 정권의 유력 주자로는 국민민주당 다마키 유이치로(玉木雄一郎) 대표가 부상하고 있다.
13일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노다 요시히코 입헌민주당 대표는 전날 후지타 후미타케 일본유신회 공동대표, 다마키 국민민주당 대표와의 당수 회담을 14일 개최할 수 있도록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다마키 대표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입헌민주당과의 당수 회담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후지타 대표 역시 회담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립에서 이탈한 공명당도 야당과의 협력에 나서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입헌민주당 아즈미 준 간사장을 인용해 “공명당 간부가 야당의 간사장 및 국회대책위원장 회담에 참여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사이토 데쓰오 공명당 대표도 “인물과 정책 중심이라면 협력도 가능하다”고 말해 야권 공조에 여지를 남겼다.
제3당 국민민주당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 野 단일후보로 부상
야권 내에서는 다마키 대표를 단일후보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다마키 대표는 지난 10일 X에 “총리를 맡을 각오가 돼 있다”고 선언하며 정권교체론에 불을 붙였다.
관건은 헌법·외교·안보 등 각 의제에서 야당 간 견해차를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다.
다마키 대표는 “정권을 함께할 정당이라면 기본 정책의 일치가 전제돼야 한다”며 입헌민주당이 평화안전법제(안보법)의 취급과 원전 정책 등 기본 입장을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입헌민주당은 집단적 자위권을 제한적으로 허용한 안보법의 ‘위헌 부분 폐지’를 주장하고 있으며, 당 강령에는 “원자력 에너지에 의존하지 않는 탈원전 사회의 조기 실현”이 명시돼 있다.
이에 노다 대표는 “우리는 한 글자 한 글자도 바꿔서는 안 된다는 입장은 아니다”며 정책 수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다마키 대표에게 협상 조건 완화를 요청하며 “야당이 힘을 합치면 정권교체를 이룰 수도 있는 기회를 스스로 놓치는 것은 책임 있는 정당의 자세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다마키 대표는 TV 프로그램에서 “입헌민주당이 현행 안보법제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국가 운영에 참여할 때는 예스냐 노냐 둘 중 하나”라며 타협론을 일축했다.
요시무라 히로후미 일본유신회 대표는 “입헌민주당이 진심으로 국민민주당을 설득해 단일화를 추진한다면 진지하게 논의하겠다”고 밝혔으나, 두 당이 실제로 하나로 뭉칠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자민당은 연정 상대로 국민민주당 대신 일본유신회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아사히신문은 “자민당과 일본유신회는 정책적 지향점이 비슷하며 오사카를 중심으로 일본유신회와 경쟁해온 공명당이 이탈하면서 양당 협력의 문턱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일본유신회는 오사카를 기반으로 한 보수 성향 정당으로, 요시무라 대표는 현 오사카부 지사다.
자민당은 오는 14일 의원총회를 열어 공명당의 연립 이탈 경위를 설명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현재 중의원 의석수는 제1~3야당인 입헌민주당 148석, 일본유신회 35석, 국민민주당 27석으로 세 당을 합치면 210석에 달해 자민당(196석)을 웃돈다.
히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총리 지명 선거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자민당 후나다 하지메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퇴진을 철회하고 당분간 직무를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일본 총리와 자민당 총재를 분리하는 안이 하나의 선택지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