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정부 셧다운(업무정지)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10월 구인건수 지수(Job Postings Index JPI)가 4년6개월 만에 저수준으로 떨어졌다고 CNBC와 마켓워치 등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구인구직 사이트 인디드(Indeed)는 이날 10월24일 기준 JPI가 101.9로 2021년 2월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JPI는 10월 초에 비해 0.5% 하락하고 8월 중순과 비교해선 3.5% 크게 떨어졌다. 인디드가 집계하는 JPI는 셧다운으로 공식 노동시장 통계인 노동부의 구인·이직보고서(JOLTS)가 제때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주요한 대안지표로 활용된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8월 JOLTS에서는 구인 건수가 723만건으로 나타나 7월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1월 대비로는 약 7% 감소했었다.
인디드는 자체 집계 분석한 노동지표 데이터에서 구인건수 감소와 함께 채용 공고에 제시된 임금(제안임금)도 둔화하는 흐름을 관찰했다고 지적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연간 기준 임금 제안 상승률은 8월 2.5%로 1월 3.4%에서 0.9% 포인트 저하했다.
노동시장 약화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당국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달 29일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려 3.75~4.00%로 조정하기로 했다. 연준은 인플레 리스크와 함께 노동시장 리스크의 상승을 주요 고려 요인으로 제시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전날 “고용이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는 인디드의 구인공고 데이터에서도 확인된다”며 “여름에 실업률이 다소 오른 점은 우려할 만한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셧다운 여파로 애초 오는 7일로 예정한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도 공표되지 못하게 됐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전망은 10월 고용이 6만명 감소, 실업률은 4.5%로 상승했을 것으로 예측됐다.
전문가들은 “구인건수 지수와 임금 제안의 동반 감속이 노동시장에 상당한 균열 신호”라며 “연준이 향후 금리정책을 결정할 때 고용지표의 추가 약화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