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부터 실내업소에 입장하는 고객들의 백신접종 증명서를 확인하는 것과 관련한 단속이 시작됐다.
당장 29일 한인타운내 업소가운데 단속의 대상이 된 업소는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불시에 단속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미리 확실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남가주 요식업 연합회의 김용호 회장은 “손님들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타운내 요식업은 지난 3주간의 홍보와 계도 기간 도중 업소에 포스터를 부착하는 등 실내업소 입장시 백신접종 증명 제시를 홍보해왔다.
하지만 적극적인 검사는 없었다.
타운내 한인들은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타운내 직장에서 근무하는 한인 황성만씨는 “영화관갈때, 혹은 나이가 어려 보여서 술집에 들어갈 때 아이디 제시를 요구하지 않느냐?”라고 말하고 “백신증명 카드를 제시하면 그만이다. 어려운 일 아니지 않느냐?”라며 식당이나 요식업에서 마찰이나 손님과의 불화를 우려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타운내 식당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웨이트레스 조안 김씨는 “문제가 없지는 않다. 마스크를 쓰라고 해도 마치 싸움을 하러 오는 것처럼 싫다고 말하는 손님이 있었기 때문에 백신접종 증명서도 보여주지 않으려는 분들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시민의식.
법제화 된 사항을 어기는 것에 대해 강경한 대책이 마련되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부러 시비를 걸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요식업소만 피해를 받기 때문에 이 같은 악순환이 이어진다며 마스크 착용을 거부하고, 백신접종증명서 제시를 거부할 경우 보다 강경한 대책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백신접종카드를 검사하지 않을 경우 요식업에 대해서는 두차례 적발때에는 1천달러, 세번째 적발시에는 2천달러, 네번째 적발때부터는 5천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백신접종카드를 제시하지 않고 난동을 부리거나, 영업에 방해를 줄 경우 별다른 법적인 조치를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매번 경찰에 신고하고, 그 시간을 기다리면서 영업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또 단골손님들과의 마찰도 피하고 싶은 상황이다.
또 다른 문제도 있다.
오미크론이 발견돼 전세계가 우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백신접종 완료를 부스터샷(추가접종)까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다.
오미크론 발견으로 백신 추가접종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의 두차례 접종 이후 추가 접종을 해야 백신접종을 완료했다고 해야 한다는 논란이다.
현재 부스터샷 접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상당수의 성인이 접종하지 않은 만큼, 백신접종 완료와 관련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