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대통령이 오늘 현재의 기후변화 위기를 비상상황으로 규정하고 의회가 움직이지 않는다며 행정부가 나서 특단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 선언했다.
하지만 예상됐던 ‘국가 비상사태’로 선포하는 데까진 나아가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 매사추세츠 서머싯의 옛 석탄화력발전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연설을 통해
의회에서 기후예산 처리가 교착 상태에 빠진 이후 기후 변화 위협에 맞서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나는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에 직면했을 때 긴급하게 행동하고 해결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그 위험은 바로 기후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비상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나는 의회의 조치가 없는 상황에서 기후 위기에 맞서기 위해 제 행정 권한을 사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연설은 미 상원에서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민주당내 중도파인 조 맨친 상원의원이 반대 의견을 밝히면서 기후 예산 처리가 끝내 무산된지 일주일도 채 안 돼 이뤄진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옛 석탄화력발전소가 해상풍력 관련 제조시설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들이 미국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멕시코만 해상풍력 발전 개발 가능 지역을 70만 에이커로 확정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석유와 가스 개발을 금지했던 대서양 연안 지역에 해상 풍력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당초 바이든 대통령은 의회에서 기후 예산 처리가 또 다시 무산되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비상상황’으로 규정하는 수준에서 그쳤다.
백악관은 다만 여전히 ‘국가 비상사태 선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박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