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미국, 유럽연합(EU), 중국의 경제둔화로 올해 세계 경제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1일 CBS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 유럽연합, 중국 등 3대 경제 대국이 동시에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새해는 지난해보다 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월 IMF는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압력, 각국 중앙은행의 높은 금리 수준 등을 반영해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7%로 하향 조정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중국이 코로나19 봉쇄 정책을 폐기하고 경제 재개에 착수했지만 코로나19 감염이 재확산되면서 세계 경제 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3 will be a difficult year for the world. The silver lining is we can use it to transform economies & accelerate change that’s good for our climate, good for growth. At the IMF, we recognize our responsibility to be a force for good. Watch the event: https://t.co/Yv1TvfCytH pic.twitter.com/lsrXDDLNyy
— Kristalina Georgieva (@KGeorgieva) December 29, 2022
그는 “40년 만에 처음으로 2022년 중국의 성장률이 세계 성장률을 밑돌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앞서 IMF는 지난 10월 중국의 2022년 성장률을 3.2%로 낮춰 잡았었다. 세계 경제 성장률은 3.2%로 중국과 같은 수준을 예상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중국인들이 여행을 시작하면 제로 코로나가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며 “향후 몇 달간 중국은 어려워질 것이며, 중국 경제 성장과 지역, 글로벌 성장에 대한 영향도 부정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내년에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국은 가장 회복력이 강하다. 불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 노동 시장이 여전히 매우 강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노동시장이 매우 강할 경우 미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더 오랫동안 금리를 긴축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좋은 점도, 나쁜 점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