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의 폴더블폰(접이식 화면)이 최근 미국 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10년 넘게 공고했던 애플의 점유율이 하락했다.
17일 CNBC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2분기 미국 내 삼성 출하량이 급증하며 시장 점유율은 이전 분기 23%에서 31%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애플의 점유율은 56%에서 49%로 떨어졌다.
CNBC는 “애플은 여전히 미국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며 신규 스마트폰 판매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면서도 “최근 점유율 하락은 애플이 10년 넘게 경험하지 못한 변동성”이라고 평가했다.
삼성과 애플은 과거에도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2014년, 삼성이 큰 화면 스마트폰으로 시장을 장악하자, 애플은 아이폰 6를 출시해 큰 화면 옵션을 제공하며 점유율을 회복했다.
최근에는 접이식 화면을 둘러싼 경쟁이 재현됐다. 삼성은 지난달 Z 폴드 7과 Z 플립 등 신형 폴더블폰 두 모델을 선보였다. Z 폴드 7은 태블릿처럼 변환이 가능하며, Z 플립은 기존 플립폰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에 최신 기능을 담았다.
SNS에서는 해당 스마트폰의 내구성 테스트 영향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Z 폴드 7을 20만 번 이상 접는 영상은 유튜브 조회 수가 1500만 회를 넘었다.
전문가들은 삼성의 2분기 점유율 상승이 단순히 소비자 선호 때문만은 아니라고 분석한다. 관세 등 외부 요인이 영향을 미쳤고, 삼성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제공하는데 특히 저가형 모델이 이번 점유율 확대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카날리스의 애널리스트 루나르 뷔르호브데는 “삼성의 갤럭시·Z 시리즈는 650달러(약 90만원)부터 2400달러(약 333만원)까지 가격대가 다양해 모든 소비자를 공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아이폰은 2017년 이후 디자인 변화가 거의 없고, 현재 829달러에서 1599달러 사이 네 가지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애플은 다음 달 슬림형 아이폰을 출시해 삼성 갤럭시 엣지 모델과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JP모건의 애널리스트 사믹 차터지는 “애플은 내년에 접이식 아이폰을 출시해 삼성 Z 폴드와 경쟁할 것”이라며 “투자자 관심은 이미 2026년 9월 아이폰 18 라인업과 첫 접이식 아이폰 출시로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터지는 애플 접이식 모델 시작 가격을 1999달러로 전망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