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이 외국 기업의 배터리 등 투자 분야 ‘초기’ 외국인 유입을 두둔했다. 궁극적으로는 이들 일자리가 미국인에 돌아간다는 취지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4일 온라인 중계된 야외 브리핑에서 H-1B 비자로 미국 노동자가 외국인 노동자에게 대체된다는 지적을 받고 “미국인 노동자 대체를 누가 지지하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노동자가 대체되기를 원치 않는다”라며 질문을 던진 기자를 향해 “대통령의 발언을 잘못 묘사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의 더 나은 부활을 원한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무역 등 정책 목표도 모두 제조업 부활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그게 (대통령이) 우리 국가에 수조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이유”라며 “이는 미국인을 위한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한다”라고 했다.
H-1B 비자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기업이 미국에 수조 달러를 투자하기를 원한다”라며 “그들(외국 기업)은 배터리와 같은 매우 성장하는 분야를 제조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를 데려온다”라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일이 초기 단계에 이뤄져 제조업 시설과 공장이 돌아가길 원한다”라며 “하지만 궁극적으로 대통령은 미국 노동자들이 이들 일자리를 갖기를 원한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기업에 “미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이곳(미국)에 투자하고 우리 시민을 고용해야 좋을 것”이라고 늘 말한다고도 강조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배터리가 언급된 것은 지난 9월 조지아 현대차·LG엔솔 배터리 합작 공장에서 벌어진 한국인 노동자 대거 구금 사태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건 이후 최근 포럼 연설에서 숙련 외국인 노동자 유치를 위한 H-1B 비자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지아 사태를 “멍청한 짓”이라고 칭한 바 있다.
외국인 노동자 유치를 위한 H-1B 비자를 두고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 기반인 마가(MAGA) 내에서 반발도 있다. 이날 브리핑 질문도 마가 반발에 관한 우려가 초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