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년간 이어진 내분으로 분규단체로 지정됐던 미주한인회총연합회(이하 미주총연, 공동회장 김병직·국승구)가 분규단체에서 해제됐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달 26일 지난 5월 총회에서 통합을 이뤄낸 미주총연에 대해 분규 단체 지정 을 해제했다.
분규단체에서 벗어나게 됨에 따라 미주총연은 8월 1일부터 정부 주관 행사 초청 대상에 다시 포함됐고, 재외동포재단의 각종 행사 지원금 교부도 받을 수 있게 됐다.
한국 정부가 인정하는 한인 단체의 기능을 회복한 셈이다.
또 회장이 당연직으로 들어가던 세계한인회장대회 운영위원에 복귀하고 지난해 발족한 세계한인회총연합회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미 전국 각 지역 170여개 한인회의 전·현직 한인회장이 참여해 1977년 결성돼 미주총연은 45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회장 선거를 둘러싼 내홍과 법정분규가 이어졌고, 두 단체로 분열돼 서로 대립해 한인 사회에서는 존재감 없는 유명무실한 단체로 전락했다.
미주 총연이 7년만에 분규단체 지정에서 해제됐지만 한인 사회에서 존재감이 사라진 지 오래인데다 그간 한인 사회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제대로 목소리를 낸 적이 없어 전직 한인회장들의 친목단체 수준을 벗어나기는 힘들다는 것이 한인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한인회 임원을 지낸 K씨는 “미주총연을 들여다보면 한국 정부로부터 전관 대우를 받고 싶어하는 은퇴한 한인회장들 뿐이며, 이들이 200만 미주 한인들과 한인 사회를 대표해 미국과 한국 정부에 목소리를 낼 것으로 기대하는 한인들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라고 미주 총연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어 K씨는 “미주 총연이란 단체가 왜 필요한 것인지, 미주 한인 사회 전체를 대표한다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 조차 사실 회의적”이라며 “당장 해체하거나 사라진다한들 미주 한인사회에는 아무런 영향도 없을 것이며 관심을 갖는 한인들도 조차 없을 것”이라고 미주총연을 혹평했다.
많은 한인들은 분규단체에서 벗어난 미주총연이 은퇴한 한인회장들의 정치놀이판을 벗어나 환골탈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도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