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24일 대륙 간 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이 ICBM 발사에 성공한 것은 2017년 11월29일 화성-15형 이후 4년3개월여 만이다.
합동참모본부는 24일 오후 “우리 군은 오늘 14시34분경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대륙 간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번에 발사한 ICBM의 비행거리는 약 1080㎞, 고도는 약 6200㎞ 이상으로 탐지했으며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탄종은 화성-17형 ICBM으로 추정된다. 발사지는 평양 순안공항으로 추정된다. 탄착지는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반도 서쪽 150㎞ 지점이다.
북한은 지난달 27일과 이달 5일, 16일에 걸쳐 신형 ICBM을 시험 발사한 뒤 이날 최종적으로 성공시켰다. 북한은 지난달 27일과 이달 5일에는 준중거리 탄도미사일(MRBM) 궤적으로 시험 발사했으며 이달 16일에는 발사 후 몇 초 만에 20㎞ 상공에서 폭발했다.

북한이 ICBM 발사에 성공한 것은 2017년 11월29일 이후 4년3개월여 만이다. 당시 북한은 화성-15형 ICBM을 정점 고도 약 4500㎞, 비행 거리 약 960㎞로 발사했다.
합참은 “북한의 이번 발사는 국제사회에 약속한 ICBM 발사 유예를 스스로 파기한 것으로서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심각한 위협행위”라며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밝혔다.
군은 북한 ICBM 발사에 대응해 오후 4시25분부터 동해상에서 합동 지해공 미사일을 발사했다. 군은 현무-Ⅱ 지대지 미사일 1발, 에이태킴스(ATACMS) 1발, 해성-Ⅱ 함대지 미사일 1발, 공대지 합동직격탄(JDAM) 2발을 발사했다.
합참은 대응 사격에 관해 “우리 군은 북한의 군사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시에는 언제든지 미사일 발사 원점과 지휘·지원시설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원인철 합참의장은 북한 ICBM 발사 후 폴 라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과 화상 회의를 열어 상황을 공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