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민간 기업이 6만 배럴 상당의 유류를 북한으로 운송할 선박을 찾는다는 공고문을 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화주인 러시아 회사의 의뢰를 받은 선박 브로커는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 왓츠앱 등을 통해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유류를 운송할 유조선을 찾는다는 ‘선박 모집 공고문’을 배포했다.
선적지는 러시아 보스토치니, 하역지는 북한 남포이고 운송 유류는 7000~8000t, 약 6만 배럴 규모다. 1차 선적 일정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 2차 선적은 5월18일로 명시돼 있다. 공고문엔 최대 수심이 9m라는 항구 정보도 나와 있다고 한다.
탱크로리 1대가 약 20t을 실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유조차 400여대 분량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017년 채택한 대북 결의 2397호에서 북한의 정제유 수입 한도를 연간 50만 배럴로 제한한 바 있다. 이 상한선의 약 10분의 1에 달하는 분량이 단 두 번에 걸쳐 북한으로 보내지는 셈이다.
선박 업계 관계자는 7일 VOA에 “선적일을 보면 일정이 매우 빠듯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급하게 북한에 유류를 보내야 하는 사정이 있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
미국 정부는 최근 러시아가 북한에 안보리의 연간 한도를 넘는 정제유를 공급했다면서 관련 거래에 대한 대응을 예고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지난 2일 브리핑에서 “러시아가 올해 북한에 제공한 정제유 양이 이미 유엔 안보리가 정한 한도를 넘었다. 3월에만 16만5000배럴 이상을 보냈다”고 밝혔다.
다만 당시 거래에는 북한 유조선이 동원되는 등 사실상 정부 차원에서 이뤄졌으며, 이번엔 민간 회사가 제3국 선박 회사 등을 상대로 공고문을 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VOA는 지적했다.
VOA는 “유엔이 정한 연간 상한선을 초과한 상황에서 민간 차원에서도 북러 간 유류 거래가 노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북러 관계 강화 분위기에 편승해 민간 회사마저 노골적으로 안보리 결의 위반에 동참하는 것은 아닌지 주목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도 “선박 업계에선 북한 항구에 직접 기항해야 하는 만큼 회사들이 쉽게 나서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실제 응찰하는 회사가 있을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