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민주화운동 항쟁지’ 광주 금남로 일대에서 50m가량 거리를 두고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찬·반 집회가 각기 열렸다.
180여개 지역시민사회단체가 꾸린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은 15일 오후 4시부터 광주 동구 금남로 5·18민주광장~흥국화재 건물 일대에서 14차 광주시민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주최 측은 이날 오후 5시 기준 총궐기 대회에 시민 2만여 명이 모였다고 공식 발표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 파면’, ‘내란 종사자, 내란 동조 세력 처벌하라’, ‘김건희도 구속하라’ 등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든 채 한 목소리로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인용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이 무장 군인을 국회·선거관리위원회 등 헌법기관에 투입해 헌정 질서를 위협한 친위 내란을 꾀했다며 한목소리로 규탄했다.

위경종 광주비상행동 공동대표는 “윤 대통령은 전두환을 꿈꿨다. 민간인 노상원 전 정보사 사령관의 수첩에는 윤 대통령의 끔찍한 저의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대통령이 3선까지 할 수 있도록 개헌하고 영구 집권까지 꿈꿨다니 소름이 돋는다. 다시 오월 대동정신으로 윤 대통령을 탄핵하고 내란 세력을 뿌리 뽑을 때까지 함께 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1980년 계엄 트라우마가 여전한 광주에서, 더욱이 5·18항쟁지인 금남로에서 윤 대통령의 불법 계엄 정당성을 설파하는 집회가 열린 데 대해 “반민주적이며 국민 분열 조장하는 행위”라고 규탄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앞서 보수 성향 개신교단체 ‘세이브코리아’는 이날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광주 동구 금남로 흥국화재 빌딩 앞~금남로5가 일대에서 ‘전남국가비상기도회·도민대회’를 열었다.

서울·부산·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참석자는 주최 측이 경찰에 집회 신고한 1만 명을 웃돈 것으로 추산된다.
집회 참석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거나 ‘계엄 합법’ ‘탄핵 무효’ 등이 적힌 피켓을 손에 쥐고 윤 대통령 탄핵 반대와 석방을 촉구했다.
‘보수의 확성기’를 자처하며 최근 탄핵 반대 집회에 앞장서고 있는 전한길 한국사 강사도 연사로 참석했다.
전씨는 “신군부 독재와 싸운 5·18민주화운동 정신이 깃든 광주가 이번에는 의회 독재에 맞서 윤 대통령을 지켜내야 한다. 계몽령을 통해 국민을 일깨운 윤 대통령을 석방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미래 세대에 자유대한민국이 이어질 수 있도록 모두 노력하자”며 대통령 탄핵 기각을 거듭 촉구했다.
경찰은 비슷한 시간대 금남로 일대에서 대규모 탄핵 찬·반 집회가 열리는 만큼, 양측 집회 참가자들 사이의 돌발 상황에 대비했다. 경찰은 두 집회 중앙 무대 사이에 차벽을 설치, 50m가량 ‘완충지대’를 두고 양측 집회 참가자 간 충돌 가능성을 원천 차단했다.
양측을 오가는 통행로와 우회 이면도로 입구 곳곳에도 경력을 촘촘히 배치,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했다. 경찰은 이날 집회 관리에 형사기동대·다목적기동대 등 1500여 명을 투입했다.
탄핵 반대 집회가 끝날 무렵, 양측 집회 참가자들이 일시적으로 뒤섞이면서 옥신각신 언쟁을 벌이기는 했으나 경찰의 중재로 일단락됐다. 경찰은 두 집회 개최 장소 사이의 통행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며 양측 사이에서 큰 물리적 충돌을 방지하기도 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