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150편 중 16편에서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이 있었다는 학계의 자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수협회 등 11개 교수단체가 참여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14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대국민 보고회에서 이같이 발표하며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범학계 검증단은 문제가 된 16개 논문을 ▲제자 학위논문을 제1저자로 발표한 사례(8건) ▲교신저자 표기 논란(2건) ▲제자의 논문보다 먼저 발표한 경우(4건) ▲IRB 승인 표기 누락(5건) ▲중복게재(2건) 등 5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일부 논문은 중복된 사례로 복수 항목에 해당한다.
검증단은 특히 제자의 학위논문을 지도교수가 제1저자로 발표한 점을 집중 비판했다. 검증단 참여자인 김승희 광주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학위논문은 철저히 학생의 것”이라며 “교수의 기여가 있다 하더라도 제1저자로 등재하는 것은 제자의 아이디어를 탈취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자료에서 “공동저자 간 합의에 따라 제1저자 표기를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논문 기여도에 따라 제자의 기여가 큰 경우 제자를, 교수의 기여가 큰 경우 교수를 제1저자로 삼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검증단은 이 해명에 동의하지 않았다.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이런 인식을 갖고 있다면 교육자 자격이 없다”며 “이 후보자는 즉각 자진 사퇴하고, 이재명 대통령도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 후보자의 논문을 게재한 한국색채학회와 한국건축학회는 같은 날 입장문을 통해 “연구윤리 위반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색채학회는 ‘쪼개기 논문’ 논란에 대해 “같은 실험이라도 결과의 의미가 다르면 개별 논문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