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이 22일 국회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하며 사실상 임명 강행 수순에 돌입했다. 재송부 시한은 24일로, 법적으로 임명 강행 요건을 갖추기 위한 마지막 절차다.
앞서 이재명은 논문 표절 논란이 제기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지명을 철회했다. 그러나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야당은 물론 진보 시민단체들조차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번복은 없다’는 태도로 맞서고 있다.
이른바 ‘이진숙은 버리고 강선우는 안 버리는’ 이재명의 인사기준이 도마 위에 오르는 이유다.
진보 진영도 반대한 강선우, 왜 지켜야 하나?
강선우 후보자는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의 부적절한 발언, 젠더 갈등을 조장한다는 평가, 여가부 폐지에 반대하는 야당과의 정책 불일치 등 여러 논란에 휩싸여 있다. 특히 강 후보자가 “20대 남성은 혐오의 동력”이라는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국민의힘은 물론 정의당·진보당과 같은 소수야당도 임명을 반대하고 있다.
그런데도 대통령실은 “번복은 없다”는 단호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신속한 국정 안정을 위해 24일까지 청문보고서 송부를 요청했다”며 “과거 사례 및 다른 장관 후보자들의 시한도 고려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은 명분일 뿐, 실제로는 강선우라는 정치적 인물을 왜 이재명 대통령이 고수하는지가 더 큰 관심사다.
‘이재명 사람’이자 ‘친명 홍보창구’
강선우 후보자는 대표적인 ‘친명 인사’로 꼽힌다.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시절부터 줄곧 이재명 대표(당시) 방어에 앞장섰고, 언론 대응에서도 ‘강성 메시지’를 자주 내왔다.
이 후보자는 정권 초반부터 강 후보자를 내각에 기용하려 했지만, 부적절하다는 여론 때문에 기회를 잡지 못했다. 여가부 폐지 기조에도 불구하고 강 후보자를 굳이 내정한 것은 ‘여성가족부를 유지하겠다’는 정치적 시그널이자, 동시에 친명 핵심 인사에게 힘을 실어주는 인사로 해석된다.
‘이진숙은 버린’ 이유는?
반대로 이진숙 후보자의 경우는 상황이 달랐다. 논문 표절뿐 아니라 제자 논문을 표절한 이중적 연구윤리 위반과, 다수 논문에서의 중복 게재 등이 사실로 확인되면서 ‘방어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 대통령실 내부 판단이었다.
무엇보다 이 후보자가 이재명 핵심 인맥이 아니었다는 점도 지명 철회의 배경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여론과 당내 의견이 심각하게 나빠졌을 때, 과감히 버릴 수 있었던 인물이라는 의미다.
강행할수록 남는 ‘낙인’
문제는 강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대통령 스스로가 ‘편향 인사’, ‘코드 인사’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진숙은 여론을 고려해 철회하면서, 훨씬 더 논란이 많은 강선우를 밀어붙이는 모습은 ‘내 사람은 지킨다’는 이중 잣대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야권은 물론 진보 성향의 참여연대, 민주노총조차 강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고 촉구한 상황에서 임명을 강행할 경우, 향후 국회와의 관계 악화는 물론 여성가족부 존치 여부 논란에도 불을 지필 수 있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의 강선우 임명 고수는 ‘국정 안정’이나 ‘시한 고려’보다 더 근본적인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즉, 임기 초반부터 흔들림 없이 ‘친명 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국정을 장악하겠다는 선언에 가깝다.
<김상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