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 카운티 소속의 5만 5천여 명의 노조원이 28일 저녁 7시부터 48시간 파업에 돌입했다.
카운티 노조는 카운티 측이 새 노동계약 협상에서 공정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카운티는 “직원들의 요구를 수용할 재정적 여유가 없다”고 밝혔다.
파업에 나서는 이들은 서비스 종사자 국제 노조 ‘SEIU 721’지부 소속으로, 공공사업국, 도서관, 정신건강 서비스 분야 종사자들이 포함된다.
한 노조 지도자는 집회에서 “협상장에서 받은 건 철저한 무시뿐이었다”고 비판하며, 카운티가 제시한 안이 생활비 상승률 0%, 사실상 동결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LA카운티 수퍼바이저 위원장 캐서린 바거는 “인플레이션 등 재정적 어려움은 인정하지만, 현재 예산 적자가 너무 커 생활비 인상을 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카운티는 ▲이튼 화재와 팔리세이즈 화재로 인한 예기치 못한 지출 ▲주 법 개정으로 인해 10년 이상 지난 청소년 성폭력 피해 보상금 40억 달러를 지급한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강조했다.
바거는 “노조 측도 우리가 협상 여력이 없다는 걸 알고 있다. 우리가 수표를 발행하면, 그게 실제로 현금화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상황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카운티 CEO 사무국도 성명을 내고 “현재 재정 상황은 전례 없는 압박 상태”라며, 여기에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이어진 연방지원금 수백만 달러 삭감 우려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럼에도 카운티는 공정하고 책임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며 “노조가 이를 신중히 검토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카운티는 최근 내년도 예산안을 통해 일부 부서에 3% 예산 삭감과 200개 이상의 공석 직위 폐지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파업은 응급의료와 소방 등 주요 공공서비스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일부 카운티 도서관은 임시 폐쇄, 비응급 클리닉은 운영 중단, 해변 화장실 폐쇄 및 검시관 서비스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서비스 지연이나 폐쇄 관련 상세 내용은 LA카운티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성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