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집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스레인지가 유해물질을 배출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최근 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 출연해 “가스레인지를 켜는 것만으로도 일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 같은 유해물질이 나온다”며 “미국화학협회에서도 이미 전기레인지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최근 국내 급식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폐 건강 검사에서 하루 8시간 이상 가스레인지 앞에서 일하는 종사자 중 약 30%가 폐 이상 소견을 받았다”며 “젊은 연령층에서도 예외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루이틀의 노출로 문제가 생기진 않지만, 매일 노출되면 몸이 손상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여성 폐암 환자의 90%가 비흡연자인데, 주요 원인으로 주방 환경이 지목된다”고 지적했다.
가스레인지의 주연료인 메탄가스는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연소할 경우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데, 그 농도는 일산화탄소 측정기의 경보음이 울릴 정도로 높다고 알려졌다. 이에 대해 강 교수는 “후드를 켜 두더라도 코로 흡입되는 양이 상당하다”고 했다.
또한 800~1300도의 고온에서는 공기 중 산소와 질소가 결합해 이산화질소가 생성된다. 강 교수는 “이산화질소는 자동차 배기가스와 동일한 물질로 장기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 손상 위험이 커진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가스레인지가 전기레인지보다 훨씬 위험하다”며 “전자파를 맞는 게 더 낫다”고 강조했다.
다만 즉시 교체가 어렵다면 “조리할 때 창문을 두 곳 이상 열어 환기를 충분히 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전기레인지도 전자파는 있지만, 조리 중 약간 뒤로 물러서거나 불 세기를 중간으로 낮추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