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예일대 캠퍼스에서 ‘캐서리나 린(Katherina Lynn)’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학생은 입학을 위해 이름, 고향, 가족사 등 자신의 모든 배경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원뿐 아니라 성적표, 개인 이력 등도 모두 위조했다.
린은 자신이 노스다코타주 소도시 티오가(Tioga) 출신이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북가주 베이 지역의 중국계 미국인 가정에서 자랐다.
그녀는 고등학교 시절 중국식 이름 때문에 괴롭힘을 당한 후, 이를 피하고 엘리트 대학 입시에 유리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서구식 정체성’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애덤 응우옌 전 콜롬비아대 입학 자문가는 “그녀는 백인처럼 보이는 이름을 가진 노스다코타 시골 출신 학생으로 자신을 꾸며냈다”며 “입학 심사 시스템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위조된 서류나 추천서가 걸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린은 아이비리그 입학 시스템을 수년간 연구하며, 관련 팟캐스트를 듣고, 학교 서류를 정교하게 조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녀는 “어도비(Adobe)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배워 성적표와 재정 서류를 위조했다”며 “추천서도 직접 썼고, 대학의 보안 절차를 우회할 방법도 고안했다”고 말했다.
이같은 변신은 고등학교 중반부터 시작됐다. 그녀는 법적으로 이름을 바꾸고, 실제 졸업식에는 참석하지 않은 채 티오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해당 학교에는 그녀의 이름이 등록된 적이 없었다.
결국 린은 2025학년도 예일대 입학 허가를 받았다. 지난 8월에는 완전히 새로 꾸민 신분으로 캠퍼스에 도착했으며, 기숙사 문에는 ‘캐서리나 린 – 티오가, 노스 다코타’라는 명패가 붙어 있었다.
하지만 몇 주 만에 거짓말은 드러났다. 룸메이트가 그녀의 이야기에 수상한 점을 발견했고, 가방에 캘리포니아 주소와 다른 이름이 적힌 태그를 보고 의심하기 시작했다. 룸메이트는 이를 학교 측에 신고했고, 예일대는 즉시 조사에 착수했다.
며칠 뒤 린은 학장실로 소환돼 입학이 취소됐으며, 대학 관계자와 경찰의 동행 아래 기숙사로 돌아가 짐을 챙긴 뒤 당일 비행기로 캘리포니아로 돌아갔다.
예일대 대변인 폴 맥킨리는 “예일은 수천 건의 입학 지원서를 받으며 지원자의 정직성을 신뢰한다”며 “허위 사실이 확인될 경우 입학은 즉시 취소된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로 돌아온 린은 “이름을 바꾸고 새로 시작할 것”이라며 “조금 화가 난다. 그 이름이 정말 마음에 들었는데…”라고 말했다.
이번 사건은 미국 대학 입시 과정의 허위 지원, 검증 절차 미비, 외국 세력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켰다.
이민연구센터는 “한 학생이 이런 사기를 저지를 수 있다면, 테러리스트나 중국 정부도 같은 일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