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는 젊을수록 유리하지만, 뇌의 나이는 55세부터 60세 사이가 가장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른바 ‘중년의 지능 정점설’이다.
1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서부호주대 심리학 교수 질 지냑과 연구팀이 인지 및 성격 관련 특성 16가지를 확인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뇌의 전반적인 정신 기능은 55세에서 60세 사이에 최고조에 도달한 후, 65세를 지나며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냑 교수는 “신체적 기능은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에 가장 활발하지만, 정신적 기능을 의미하는 뇌의 기능은 중년인 55세부터 60세까지 정점을 찍는다”며 “나이 듦이 반드시 인지 저하를 의미하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새로운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인 ‘유동 지능’은 20대에 가장 높은 반면, 이미 학습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인 ‘결정화된 지능’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즉 젊은 시절엔 빠른 대응이 가능하지만, 중년 이후에는 더 깊고 신중한 판단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중년이 복잡하고 중요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근거”라며 “높은 리더십과 신중한 판단을 요구하는 자리에 중년이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지냑 교수는 “많은 사람이 나이 드는 것을 두려워하는데, 오히려 나이 먹는 것을 기대할 만한 이유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