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전역의 유권자들은 오는 11월 4일 화요일 실시되는 주 특별선거에서 ‘발의안 50(Proposition 50)’의 운명을 결정하게 된다.
이번 투표는 주 의회가 승인한 헌법 개정안으로, 2026년부터 임시로 새로운 연방 하원 선거구 지도를 도입할지 여부를 묻는 것이다.
■ ‘발의안 50’이란 무엇인가
발의안 50은 주 의회가 통과시킨 헌법 개정안으로, 캘리포니아의 현행 하원 선거구를 잠정적으로 재조정하도록 허용하는 내용이다.
현재의 선거구 지도는 2020년 인구조사 이후 독립선거구 획정위원회(Citizens Redistricting Commission)가 작성한 것이다.
캘리포니아는 2008년과 2010년 주민투표를 통해 정치권의 손에서 선거구 조정 권한을 빼앗고 독립선거구 획정위원회를 설치했다. 그 결과 2020년 인구조사 이후 작성된 현행 선거구 지도는 비교적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텍사스, 플로리다 등 공화당 주에서 중간기(mid-decade) 재배분을 통해 유리한 선거구를 새로 그리는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민주당이 주도하는 캘리포니아 의회가 “불공정에 대응해야 한다”며 발의안 50을 내놓게 됐다.
주의회는 “다른 주들이 마음대로 선거구 지도를 다시 그려 의석을 늘리고 있다면, 캘리포니아도 대응하지 않으면 불리해질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개빈 뉴섬 주지사를 비롯한 지지자들은 이를 “공정한 대표성 확보를 위한 방어적 조치”로 규정하며 “다른 주들의 편향적 재배분이 연방 하원 권력 균형을 바꿔놓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찬반 투표가 의미하는 것
찬성(Yes) 표는 → 2026년부터 새 의회 선거구 지도를 적용해 향후 선거(2026·2028·2030년)에 사용하도록 한다는 뜻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공화당 주들의 정치적 재배분에 대응하지 않으면 연방 하원 의석에서 불균형이 심화된다”며 “이번 조치는 일시적 대응책”이라고 강조한다.
민주당 캘리포니아당(CA Democratic Party)은 공식적으로 찬성 입장을 채택했고, 주요 노동조합과 진보 시민단체들이 지지에 나섰다.
이들은 “독립 위원회가 그린 지도가 불공정하다는 것이 아니라, 전국적 정치 현실이 바뀌었기 때문에 이에 맞춰야 한다”며 “2026년, 2028년 선거에서 민주당이 공화당에 빼앗긴 의석 4~5석을 되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찬성 진영은 또 “발의안 50은 2031년 인구조사 이후 위원회 권한이 자동 복원되므로, 영구적 권한 박탈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반대(No) 표는 → 현재 독립위원회가 만든 현행 지도를 2030년 인구조사까지 유지한다는 의미다.
주정부는 새 선거구로 전환할 경우 카운티별 투표 자료 수정과 투표용지 인쇄 등 일회성 비용이 수백만 달러 수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반대 측의 비판은 한결 명확하다. “선거구를 정치인들이 다시 그리게 되면, 2000년대 이전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공화당(CA Republican Party)과 비당파 개혁단체들은 “독립선거구 획정위원회는 15년간 쌓아온 공정 선거의 상징”이라며, 발의안 50이 통과되면 “정치적 게리맨더링의 문이 다시 열릴 것”이라고 경고한다.
리폼캘리포니아(Reform California)는 “이번 조치는 공정성을 명분으로 한 권력 장악 시도”라며 “주의회가 지도를 그리면 어느 당이 유리할지 이미 답이 나와 있다”고 비판했다.
■ 유권자 등록 및 투표 일정
이번 선거에 참여하려면 10월 20일 월요일까지 유권자 등록을 마쳐야 한다.
등록은 캘리포니아 주 국무장관(Secretary of State)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다.
마감일을 놓친 경우에도 선거 당일까지 현장 등록(same-day registration)이 가능하며, 이때는 ‘임시(provisional)’ 투표용지를 받게 되고 신원 확인 후 정식으로 집계된다.
■ 우편 및 현장 투표 방법
모든 등록 유권자에게는 우편투표용지(Vote-by-Mail Ballot)가 자동 발송됐다.
발송 시작: 10월 6일
드롭박스 개방: 10월 7일
우편투표지는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제출할 수 있다.
우편으로 발송 (11월 4일 선거일 소인 필수, 11월 12일까지 도착해야 집계됨)
카운티 지정 드롭박스에 투입
카운티 선거관리국 또는 투표소에 직접 제출
봉투에는 반드시 서명 및 날짜를 기입해야 하며, 등록 시 제출한 서명과 일치해야 한다.
■ 조기 현장투표 및 선거 당일
10월 25일 토요일부터 각 카운티의 조기투표소(Vote Center)가 문을 연다.
유권자는 이곳에서 우편투표지를 제출하거나, 신규 등록을 하고, 직접 투표를 할 수 있다.
선거 당일인 11월 4일, 투표소는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카운티 내 어느 투표소에서도 투표 가능하다.
■ 지역별 파급: 중앙밸리·인랜드 지역 변화 예상
새로운 지도 초안(AB 604 기준)에 따르면, 인랜드 엠파이어와 센트럴밸리 지역에서 민주당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농업 중심 지역과 북부 보수 카운티들은 영향력 축소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산호세, 리버사이드, 프레즈노 인근에서는 도시와 교외 지역이 재편성되면서 기존 커뮤니티가 서로 다른 선거구로 분할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지역 대표성의 희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유권자 판단의 핵심: “누가 나를 대표하느냐”
발의안 50이 통과되면 2026년부터 새로운 연방 하원 선거구 아래 선거가 치러진다.
즉, 지금의 지역 대표가 바뀔 수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유권자가 전혀 다른 후보에게 투표하게 될 수도 있다.
정치 분석가들은 “이번 투표는 단순히 ‘지도를 바꿀지 말지’의 문제가 아니라, 캘리포니아가 앞으로 어떤 선거 제도를 신뢰할 것 인지에 대한 선택”이라고 설명한다.
■ 한 표의 무게
프로포지션 50은 단순한 ‘지도 수정안’이 아니다.
공정한 선거 제도를 지킬 것인가, 아니면 정치적 대응을 택할 것인가—이번 특별선거의 결과는 캘리포니아의 민주주의 방향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