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상호관세 유예기한 만료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주 무역 관련 회의를 열고 상당수 국가들에 대한 관세율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30일(현지 시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성실히 협상해온 국가들에 대해서도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할 계획이 없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직접 밝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만약 상대국들이 선의로 협상에 나서지 않는다면, 이 국가들 중 상당수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율을 정할 것이다”며 “그는 이번주 무역팀과 회의를 열고 그렇게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상호관세 유예조치를 연장할지, 일방적으로 통보할지 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국가들에 대해서만 유예 조치를 연장할 가능성도 있는데, 대상국가들 역시 이번 회의를 통해 가려질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는 협상을 위해 90일간 발효가 유예됐으나, 아직 극소수만 합의에 이른 상황이다. 유예기한 만료가 코앞으로 다가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 연장보다 일방 통보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게 백악관의 설명으로 풀이된다.
그간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는 선의를 갖고 성실히 협상해온 주요 교역국의 경우에는 유예가 연장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왔으나, 최근들어서는 이러한 기조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에 출연해 “선의를 갖고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이 저항해서 우리가 결승점을 넘지 못한다면 우리는 4월2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그들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아무리 많은 사람을 동원해도 모든 국가와 대화할 순 없다”며 “모든 국가에 편지를 보내 미국에 25%, 35%, 50% 또는 10% 관세를 지불하면 된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날은 그동안 장관급 협의만 7차례 진행해온 일본을 향해 “그냥 그들에게 서한을 보낼 예정”이라며 압박을 높였다.
실무협상만 세차례에 그친 한국에 대해 미국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한국은 트럼프 행정부 관세 압박에도, 계엄 사태 후폭풍으로 제대로된 협상을 진행하지 못했다. 이달 초 새정부가 출범한 후에야 협상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