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이민구치소에 구금 중인 이민자 수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 싱크탱크 마이그레이션폴리시연구소(Migration Policy Institute·MPI)가 지난 10월 29일 발표한 ‘폴리시 비트(Policy Beat)’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 들어 미국 내 이민자 구금 인원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민영 구금 체제’가 전면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한 2025년 1월 당시 3만 9000명이던 ICE 구금 인원이 지난 8월 말 6만 1000명으로 급증했고, 내년 1월에는 10만 7000명에 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구금 시스템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추방 기계(deportation machinery)’의 핵심이라 평가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7월 제정된 ‘원 빅 뷰티풀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은 향후 3년간 총 450억달러를 이민자 구금 예산으로 배정했다.
이는 연평균 약 140억달러로, 2025회계연도 ICE 구금 예산(39억달러)의 3배 수준이며, 같은 해 연방 교정국 전체 예산(86억달러)을 60% 이상 웃돈다.
MPI는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연간 100만명 추방’ 계획에 따라 이민자 구금과 국경 단속을 전례 없이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ICE가 세계 최대 규모의 이민 구금 시스템을 사실상 ‘초가속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민영 구금 산업’ 급팽창… GEO·CoreCivic 최대 수혜
보고서는 “현재 ICE 구금자의 약 86%가 민간 운영시설에 수용돼 있으며, 이는 미국 일반 수감자 중 민영시설 비율(10% 미만)을 훨씬 상회한다”고 지적했다.
주요 계약업체로는 지오그룹(GEO Group)과 코어시빅(CoreCivic)이 언급됐다. 이들 업체는 구금시설 운영 외에도 매점, 전화요금, 위생용품 판매 등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수감자들은 하루 1달러 수준의 임금으로 식사·세탁 등 필수 업무에 동원되고 있다.
MPI는 “민간업체들이 구금산업을 ‘다층적 수익 구조’로 만들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급격한 구금 확대가 이들 기업의 이익을 폭증시키고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텍사스 등 공화당 주정부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해 주립 교도소를 이민자 구금시설로 전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플로리다에는 ‘앨리게이터 알카트라즈(Alligator Alcatraz)’, ‘디포테이션 디포(Deportation Depot)’ 등으로 불리는 시설이 운영 중이며, 루이지애나는 전국 최대의 추방 허브
로 자리잡았다. 루이지애나 알렉산드리아 공항 인근 구금센터에서는 올해 1~7월 사이 4만명이 넘는 이민자들이 미국 내외로 이동했다.
MPI는 “지역 정부들이 경제 활성화 명목으로 ICE와의 계약을 확대하고 있다”며 “지난 10년간 신설된 이민자 구금시설의 70%가 농촌 지역에 위치한다”고 밝혔다.

구금 이민자 70%는 ‘범죄 이력 없음’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ICE 구금자 중 71%는 형사 전과가 없으며, 25%는 단순 교통법규 위반 등 경범죄로 분류됐다.
MPI는 “행정 절차를 위한 ‘비형벌적 구금’이 본래 목적이지만, 실제로는 구금 장기화와 열악한 환경을 통해 ‘자가추방(self-deportation)’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평균 구금 기간은 44일에 달하며, 캘리포니아 맥팔랜드의 ‘골든스테이트 애넥스(Golden State Annex)’ 시설은 평균 111일로 가장 길었다.
보고서는 구금시설 내에서 부패한 음식, 불결한 물, 과밀수용, 24시간 조명, 의료 방치 등 인권 침해 사례가 다수 보고됐다고 밝혔다.
2025회계연도에만 23명이 ICE 구금 중 사망했으며, 이는 지난 4년간 전체 사망자 수(24명)에 맞먹는다.
국토안보부(DHS)는 “모든 시설이 기준에 부합한다”고 주장했지만, 민주당 의원들이 현장 점검을 시도하다가 출입을 거부당하거나 물리적 제지를 당한 사례도 확인됐다.
MPI는 트럼프 행정부의 구금 확대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장이 향후 수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는 추방 공포로 인한 ‘자가추방’이 늘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불필요한 구금시설이 지역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정부, 지역사회, 이민자 모
두가 예상치 못한 후과를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상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