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속도 조절과 국채 매입 확대 방침을 동시에 내놓으면서 금융시장 전반의 불안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치가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성장 전략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연준은 9~10월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12월 추가 인하는 경기 둔화가 명확해질 때만 가능하다고 밝혀 사실상 속도 조절에 나섰다. 또 국채 매입을 늘리며 대차대조표 축소(QT)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WJS은 “연준의 느린 금리 인하와 대차대조표 확대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끌어올리고 변동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중소기업의 비용을 높여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에너지 개혁 효과 일부를 상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연준의 채권 보유액은 지난 10월 29일 기준 6조3000억 달러로, 만기가 도래한 채권 상환분을 상쇄하기 위해 국채를 추가 매입하면서 규모가 더 커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채권과 주택저당증권(MBS)을 직접 보유하는 방식이 사실상 재정정책에 개입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한다. 이는 정부의 차입비용을 낮추고 부동산 등 특정 산업에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통화정책의 본래 목적을 왜곡시킨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연준의 독립성이 약화되고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사실상 ‘초대형 헤지펀드’처럼 움직이며, 은행에서 막대한 자금을 빌려 국채 중심의 비다각화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WSJ은 “연준이 2430억 달러의 순자산 손실 상태에서 민간 자금을 정부 부문으로 흡수하며 경제를 정부 주도 구조로 바꾸고 있다”고 지적하며 “연준은 이를 ‘금융 안정성 강화’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암호화폐·스테이블코인·인공지능(AI) 등 빠르게 진화하는 혁신 기술에 뒤처진 채 금융 구조를 경직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