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욜란데 마콜로 르완다 정부 대변인은 5일 “르완다는 거의 모든 가정이 이주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최대 250명의 이주민을 받아들이기로 미국과 합의했다”고 말했다.
누구를 보낼지는 미국이 결정
아프리카의 미국 이민자 수용은 르완다가 처음은 아니다.
지난달 미국 대법원은 8명의 남성을 남수단으로 추방하는 것을 승인했다.
에스와티니 왕국 또한 미국에서 추방된 5명을 수용했지만 곧 이들을 이민자의 본국으로 송환 할 계획을 발표했다.
에스와티니와 달리 르완다는 추방자들을 사회에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콜로 대변인은 추방자들이 르완다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재정착하고 직업 훈련, 의료 서비스, 그리고 거주지를 제공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르완다가 어떤 미국 추방자를 받아들일지는 미국이 승인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자 수용의 댓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 케이블 방송 보도에 따르면 4월 트럼프 행정부는 르완다에 이라크인 한 명을 받아들이는 대가로 1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했다고 NYT는 전했다
르완다 외무장관 올리비에 은두훈기레헤는 국영 방송 르완다 TV와의 인터뷰에서 르완다가 더 많은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이미 5월부터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르완다와 이민자 수용
앞서 영국은 지난해 4월 르완다와 망명 신청 탈락자 송환 협정을 맺은 바 있다.
지난해 4월 29일 첫 송환이 이뤄져 이민자 한 명이 항공편을 이용해 영국에서 출국한 뒤 르완다 수도 키갈리에 도착했다.
영국은 2022년에도 르완다에 망명 신청자들을 재정착시키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지만 수년간 수억 파운드를 쏟아부었음에도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영국 정부는 해당 금액을 회수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지만 르완다 관계자들은 상환 의무가 없다고 반박했다.
르완다는 2013년 비밀 협정에 따라 이스라엘에서 추방된 난민들을 수년간 수용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난민들을 은밀히 국외로 추방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내륙의 르완다는 1994년 약 8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량 학살 이후 회복력의 모범 사례로 명성을 얻었으나 최근 들어 인권 상황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