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경기부양금은 은행계좌로 들어왔지만 2차 경기부양금은 데빗카드로 받은 주민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00달러의 2차 경기부양금을 은행계좌로 받지 못한 800만명에 대해 국세청은 데빗카드나 종이 체크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20일 부터 데빗카드를 통해 경기 부양금을 받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1차 경기부양금때 개인 은행계죄로 지원금을 받은 상당수 주민들이 이번에는 데빗카드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빗카드는 EIP(Economic Impact Payment Card)로 일반 데빗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메타 뱅크라는 은행에서 발생된 EIP 카드는 지정 ATM이 아니면 수수료를 내야 한다.
인터넷 사용이 불편한 사람들은 남은 금액 체크를 하기도 어렵고, ATM을 이용해 밸런스 체크만 해도 수수료를 내야한다.
기존의 은행 고객들의 계좌가 버젓이 있음에도 메타뱅크 데빗카드를 발급한 것과 관련해 메타뱅크 챙기기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개인 구좌로 보내주면 수수료 등이 최소화 될 수 있지만 다른 은행을 사용할 경우 수수료가 부과되고 600달러를 모두 한번에 찾는다고 해도 8백만명이 2달러씩 수수료를 내도 1600만 달러다.
물론 조건이 다 맞아야 하지만 충분히 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박상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