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수가 역대 가장 많은 약 22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명 중 6명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거주하고 있었다.
한국으로 유학을 온 외국인 수는 결혼이민자 수를 사상 처음 앞질렀다.
8일 행정안전부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한 ‘2022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는 225만8248명이다.
외국인주민은 국내에 거주한 지 90일을 초과한 외국인·귀화자와 그 자녀를 말한다.
외국인주민 수는 전년 대비 12만3679명(5.8%) 증가해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역대 가장 많다. 종전 역대 최다 인원이 집계된 해는 2019년의 222만명이다. 이후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 감소한 뒤 이듬해인 2021년까지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가 3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총인구(5169만2272명) 대비 외국인주민 비율도 4.4%로 역대 최고치다. 이 비율은 2018년 처음 4.0%를 넘기고 2019년 4.3%로 최고치를 찍은 뒤 2020년 4.2%, 2021년 4.1%로 하락한 바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 전년 대비 3만2790명(20.9%) 늘어난 것이 전체 외국민주민 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게 행안부 분석이다.
조상민 행안부 사회통합지원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주민 감소세가 멈추고 가파르게 반등하는 추세로 돌아섰다”면서 “유학생 증가 추세가 두드러진 영향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유형별로 보면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근로자·외국국적동포·결혼이민자 등 장기체류 외국인이 175만2346명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10만2379명(6.2%) 늘었다. 국적별 구성 비율은 중국(한국계)이 30.1%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11.9%), 중국(11.7%), 태국(9.3%) 등의 순이었다.
한국 국적을 취득한 귀화자는 1만2945명(6.1%) 증가한 22만3825명, 국내 출생한 외국인주민 자녀는 8355명(3.1%) 증가한 28만2077명이었다.
귀화자 출신 국가별로는 중국(한국계) 9만8477명(44.0%), 베트남 5만660명(22.6%), 중국 4만1413명(18.5%), 필리핀 1만295명(4.6%), 캄보디아 4946명(2.2%) 등의 순으로 많았다.
국적 취득 후 경과 기간이 10년 이상인 자가 11만7392명(52.4%)이었다. 5년 이상 10년 미만인 자는 5만3305명(23.8%), 5년 미만인 자는 5만3128명(23.8%)이다.
국내 출생 외국인주민 자녀의 연령별 분포는 미취학아동 10만5451명(37.4%), 초등학생 10만2897명(36.5%), 중·고생 7만3729명(26.1%)이었다.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근로자는 7964명(2.0%) 늘어난 40만3139명, 결혼이민자는 7964명(2.0%) 증가한 17만5756명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은 18만9397명으로 결혼이민자 수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외국 국적 동포는 2만9000명(7.9%) 늘어난 39만7581명으로 집계됐다.
거주 지역별로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외국인주민 수가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거주자가 크게 늘었다. 경기는 전년 대비 3만7010명(5.2%) 증가해 가장 많은 75만1507명이 살고 있었다. 서울은 1만5546명(3.6%) 증가한 44만2289명, 인천은 1만2171명(9.0%) 불어난 14만6885명이다.
전체 외국인주민의 59.4%인 134만681명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이다. 10명 중 6명 꼴이다.
다만 증가율로는 대전과 강원이 각각 10.1%로 가장 컸다. 전남 9.4%, 충남 9.2%, 인천 등이 뒤를 이었다.
총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비율은 충남(6.2%), 경기(5.5%), 제주(5.0%), 인천·충북(각 4.9%), 서울(4.7%) 등의 순으로 높았다.
외국인주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시·군·구로는 안산(10만1850명)이었다. 이어 수원(6만8633명), 시흥(6만8482명), 화성(6만6955명), 부천(5만5383명) 순으로 상위 5개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해당된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외국인주민 수가 증가한 곳은 214곳이다. 감소한 곳은 광명(731명), 영등포구(619명), 용산(486명), 거제(286명) 등 단 14곳 뿐이었다.
외국인주민이 1만 명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집중거주지역’은 총 97곳으로 전년 대비 11곳 늘어났다. 경기 23곳, 서울 17곳, 경북·경남 각 9곳, 충남 8곳 등이다.
안승대 행안부 지방행정국장은 “기존의 취업 이민 중심의 이민·사회통합 정책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영역의 사회통합 정책을 통해 외국인주민이 우리 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행안부의 외국인주민 통계는 부처와 지자체 등에서 외국인주민의 생활 안정과 지역사회 정착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