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컬 주지사 “뉴욕은 250년 이상 왕 지배 안받았다” 반격
AP “통행료 징수 구역에 트럼프 타워 등 부동산 여럿” 지적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뉴욕에서 지난달 시범 시행된 혼잡통행료 부과를 중단하자 주 정부는 소송을 제기하는 등 갈등을 빚고 있다.
미 교통부는 19일 미국에선 처음으로 트럼프 취임 직전인 지난달 5일 도입된 뉴욕의 혼잡통행료 정책 시행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미 교통부는 홈페이지 보도자료에서 “뉴욕에서 시행 중인 중심상업지구 통행료 프로그램(CBDTP)에 대한 시범 운영 승인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뉴욕 혼잡통행료는 노동자 계층과 중소 규모 영업의 면전에서 뺨을 때리는 것과 같다”며 “근로자들로부터 더 많은 돈을 빼앗아 가는 불공평한 제도인데다 화물 비용을 증가시켜 결국 소비자에게 더 비싼 가격을 전가하는 구조를 만든다”고 비판했다.
혼잡 통행료는 맨해튼 센트럴파크 남단 60번가 밑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 종류와 시간에 따라 달라 일반 승용차는 혼잡 시간대 9달러, 야간 시간대 2.25달러를 내야한다.
교통부는 혼잡통행료 부과가 교통 혼잡도 감소를 위해서라기보다 대중교통 수입을 늘리는 방향으로 설정됐다고 주장했다.
교통부의 취소 명령이 나오자 뉴욕주 도시교통국(MTA)은 즉각 통행료 유지를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 MTA는 통행료 징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민주당 소속인 캐시 호줄 주지사는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통행료 프로그램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통행료 중단 명령이 발표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혼잡통행료는 죽었고, 맨해튼과 뉴욕이 구원받았다”며 “왕이여 영원하라”고 적었다.
트럼프의 글과 함께 백악관은 X(옛 트위터)에 트럼프가 왕관을 쓰고 있는 사진을 타임 표지로 합성해 올렸다
이는 일론 머스크의 새로운 그록 3 인공지능(AI) 챗봇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데일리 메일이 보도했다.
호컬 주지사는 “뉴욕은 250년 이상 왕의 지배를 받지 않았다. 미국은 왕이 통치하는 게 아닌 법치 국가로, 법정에서 보자”고 도전장을 날렸다.
AP 통신은 트럼프 타워와 여러 채의 트럼프 대통령 소유 부동산이 혼잡통행료 부과 대상 구역 내에 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는 2016년 6월 대선 기간에는 자신을 ‘부채의 왕’이라고 불렀다.
자신이 미국의 눈덩이 국가 부채에 대해 경고한 것에 대해 경쟁자인 힐러리 클린턴이 국가 부도를 위협하고 있다며 비난한 것에 대한 반박이었다.
부동산 사업가인 자신만큼 부채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는 의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