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LA 지역 통계전문 매체 크로스타운은 한인타운에서 지난 12개월(2024년 3월~2025년 2월) 동안 발급된 철거 허가는 22건에 불과하며 2025년 들어 새로 발급된 철거 허가는 단 5건이 그쳤다고 지적했다.
LA 전체 114개 이웃 중 철거 허가 수 기준으로 한인타운은 1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스 할리웃은 지난해 무려 76건의 철거 허가를 받으며 LA시 전체 1위를 기록했다. 반면 센추리시티나 포터랜치 등 일부 고급 지역은 1건에 불과했다.
크로스타운은 “LA에서 대부분의 신축 공사는 기존 건물 철거를 전제로 한다”며 “철거 허가가 줄어든다는 건, 결국 새로운 주택이나 상업용 건물 공급도 줄어든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LA시가 직면한 심각한 주택 부족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크로스타운은 지적했다. 특히 2028년 LA 올림픽을 앞두고, 도심 정비와 숙박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시점에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철거·개발 정체는 LA시 건축안전국(LADBS)의 구조적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LADBS는 건축·배관·전기 등 거의 모든 개발 관련 허가를 담당하지만, 인력 부족과 느린 행정 처리로 악명이 높다.
게다가 지난 해에는 LADBS 전 국장 레이먼드 챈이 뇌물수수 혐의로 12년형을 선고받는 등 조직 신뢰도도 흔들린 상태다.
캐런 배스 시장은 최근 산불 피해 복구와 관련해 “당신의 부지에서도 복구와 재건이 시작되길 바란다”고 말했지만, 현장의 속도는 여전히 더디다.
크로스타운 집계에 따르면 한인타운에서는 같은 기간 117건의 건축 허가가 발급됐다. 하지만 철거 허가가 22건에 그친다는 것은, 건축 수요는 있지만 실질적인 개발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 부동산 개발업자는 “허가가 나지 않으면 아무것도 시작할 수 없다”며 “특히 한인타운처럼 오래된 건물이 많은 지역은 철거부터 막히면 주택 공급 확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크로스타운은 “철거 허가 감소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닐 수도 있다”며 “높은 공사비, 인건비, 금리, 수요 불확실성, 행정 병목까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상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