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mc#HUMMER #EV, for the plant grand opening AND a visit from @potus Joe Biden 🇺🇸 #IWork4GM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차량 가격이 대폭 상승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월가 투자은행들은 미국 내에서 조립된 차량조차 최대 8천 달러, 수입차는 최대 1만5천 달러까지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27일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주요 완성차 제조사들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전 거래일보다 7.36% 급락하며 이틀간 11%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포드는 3.88%, 스텔란티스는 1.25% 하락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이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한 것이지만, 실질적으론 미국 대표 제조사들에 직격탄이 되고 있는 모습이다.
반면, 테슬라는 관세 부과로 인한 수혜 기대감에 0.4% 상승했다.
관세 부과가 차량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금융권은 일제히 경고음을 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내에서 조립된 차량이라 하더라도 부품의 절반이 수입산이라면 차량 가격이 3천8천 달러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수입차의 경우 상승폭은 5천1만5천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관세 부과 시 차량 1대당 최소 4천500달러 이상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오히려 미국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구조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바클레이스에 따르면 2024년 1~3분기 기준 미국에서 판매된 GM 차량의 52%만이 미국 내 공장에서 조립됐다. 나머지는 멕시코(30%), 한국을 포함한 기타 지역(18%)에서 생산된 것으로 파악됐다.
포드는 완성차의 해외 생산 의존도는 낮지만, 엔진 등 주요 부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어 관세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스텔란티스 역시 미국 판매 차량 중 57%만 미국 내에서 조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식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등장하면서 미국 내 차량 구매자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박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