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가 지난 9~13일(현지 시간) 미국인 1000명(오차범위 ±3.1%p)을 대상으로 실시해 19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율은 44%에 그쳤다.
2020년 트럼프 대통령의 1기 퇴임 당시 CNBC가 진행한 여론조사보다 소폭 상승한 수준이다. 51%는 트럼프의 대통령직 수행에 반대했다.
경제 정책 지지율에선 찬성이 43%, 반대가 55%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 CNBC가 진행한 여론 조사에서 경제 정책 반대 비율이 찬성보다 높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 기반인 블루칼라 노동자 사이에서 경제 정책 부정 평가도 14%p 상승했다.
특히 관세 정책에 전체 응답자 49%가 반대했다. 찬성 비율은 35%에 그쳤다. 대다수가 관세가 미국 근로자와 인플레이션, 전반적인 경제에 좋지 않다고 생각했다.
민주당 지지층에선 83%p, 무당층에선 26%p 차이로 관세 정책에 반대했다. 공화당 지지자들은 59%p 차이로 관세 정책에 찬성했다.
미국인 55%, 트럼프 경제 정책에 반대…”지지율 임기 중 최저”
대다수는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 일본을 미국에 대한 경제적 위협보단 기회로 봤다. 중국에 대해선 44%가 위협으로 봤다.
인플레이션 대응에선 60% 대 37%로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공화당 지지층에서 찬성 비율도 58%에 그쳤다.
전체 응답자 57%는 경기 침체에 곧 들어가거나 현재 진행 중이라고 봤다. 지난달 40%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49%는 향후 1년 동안 경제가 악화될 것이라고 봤다. 2023년 이후 가장 비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 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 응답자 27%는 효과가 나타나는 데 1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답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한 응답자 40%는 현재 경제에 해를 끼치고 있다고 답했다.
주식 시장 심리도 악화했다. 현재가 투자하기 좋은 시기라고 본 응답자는 38%에 불과했다. 나쁜 시기라는 응답자는 53%로, 최근 2년 사이 가장 높았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인 지난해 12월 조사에선 낙관 비율이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민 정책에는 긍정 평가가 더 많았다. 남부 국경 관리에 대한 대응엔 53%가 찬성, 41%가 반대했다. 불법 이민자 추방에는 52%가 지지했다.
연방 정부 지출에는 51%가 반대, 45% 찬성했다. 외교 정책 지지율은 42%, 반대는 53%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