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완화할 방침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WSJ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관세와 중복 과세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동차 관세를 완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번 결정으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철강·알루미늄 등에 대한 다른 관세를 추가로 납부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설명했다.
조치는 소급 적용될 예정이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이미 납부한 관세에 대해 환급받을 수 있다.
다음 달 3일 발효를 앞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도 완화하기로 했다.
미국산 자동차 가치의 최대 3.75%에 해당하는 금액을 1년간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WSJ은 전했다. 2년 차엔 환급 비율이 차량 가치의 2.5%로 낮아지며, 이후 전면 폐지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미시간 디트로이트에서 여는 취임 100일 기념행사 전 이 같은 방침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업계의 지속적인 우려와 로비 끝에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대가로 국내 제조업 목표 달성을 위한 추가 약속을 받아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 소식통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부품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데 시간을 벌어주기 위한 것으로, 단기적으로 업체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 자동차 제조사 및 노동자들과 중요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협상은 국내에서 이미 생산을 진행 중인 기업에 보상을 제공하면서 미국에 투자하고 국내 생산 확대를 약속한 제조업체들에 기회를 제공한다”며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있어 중요한 승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업계는 즉각 환영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내 “포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을 환영하고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자동차 제조사, 공급업체 및 소비자에게 미치는 관세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린 대통령의 미국 자동차 산업의 건강하고 성장하는 미래를 위한 비전 지원을 위해 행정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포드는 수출을 장려하고 합리적인 공급망을 확보해 국내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을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3일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모건스탠리는 자동차 25% 관세가 평균 비용을 6000달러(약 865만원) 증가시켜 10~12% 가격 인상을 야기할 것이라고 분석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2일 발표한 상호 관세도 90일간 유예했다. 중국에 대한 145% 관세도 완화할 것이라고 예고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