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이틀 간 캘리포니아에서 로봇 및 최소침습 종양 수술 분야에 활발하게 활동 중인 유먼 퐁 박사, 양희 유 박사, 맥스 헤이즐틴 박사 3인이 3000km 떨어진 시카고 현장의 수술 로봇을 실시간 조종해 수술대에 오른 돼지를 대상으로 담낭 절제술, 위절제술 등 다양한 복강경 수술을 원격으로 수행하했다. 이들 박사 3인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시티 오브 호프 종합암센터(City of Hope Comprehensive Cancer Center) 소속으로 로봇 및 최소침습 종양 수술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한국 의료기기 제조기업 리브스메드는 원격 의료 시스템 전문기업 소바토(SOVATO)와 손잡고 미국 캘리포니아-시카고 간 3000㎞ 거리에서 원격 로봇 수술 시연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시연에서는 리브스메드의 차세대 수술로봇 스타크(STARK™)가 최초로 공개됐다. 회사 측은 “원격 수술은 집도의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술 로봇을 원격 조종하는 첨단 의료기술로,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로봇 수술을 받을 수 있게 한다”라고 설명했다.
소바토(SOVATO)는 2022년 설립된 헬스케어 테크놀로지 기업으로, ‘고품질 외과 수술의 접근성을 전 세계로 확장한다’는 미션 아래 원격 로봇 수술을 위한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소바토 플랫폼은 원격수술에 필요한 인력, 시스템, 도구, 데이터를 종합 연결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수술로봇의 아버지’로 불리는 율룬 왕 소바토 회장이 리브스메드를 협력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리브스메드의 기술력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특히 아티센셜로 검증된 360도 다관절 기술을 바탕으로 완성된 스타크의 기술적 완성도가 그의 선택을 이끌어 냈다. 아티센셜은 상하좌우 90도 회전이 가능한 수술기구이다. 스타크는 아티센셜에서 축적된 690여건의 특허 기반의 핵심 기술력이 집약된 결과물이다.

리브스메드가 독점적으로 보유한 세계 유일의 360도 다자유도 다관절 기술을 탑재한 스타크 시스템은 로봇 장비는 물론 복강경 카메라까지 독자 개발한 리브스메드 기술력의 집합체이다.
리브스메드는 복강경 기구부터 각종 로봇 구성 장비까지 수직계열화에 성공함으로써 경쟁 수술로봇 시스템 대비 높은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제공한다. 특히 기존 복강경 기구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해부학적 구조에서도 한층 정교하고 안정적인 수술이 가능해 밀리미터 단위의 정밀 수술과 출혈량 최소화, 수술 시간 단축을 실현함으로써 수술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회사측은 “이번 시연은 스타크가 수술로봇으로서 그 성능을 공식적으로 입증하고 원격수술까지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글로벌 수술로봇 시장에서 확실한 존재감을 드러낸 결정적 계기가됐다”라고 평가했다. 오는 15일 ~ 17일 프랑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로봇수술학회 SRS(Society of Surgical Robot)에서도 이번 협업 성과가 소개될 예정이다.
이정주 리브스메드 대표는 “소바토와 세계적인 의료진와의 협업을 통해 원격 로봇 수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며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수술로봇 시장은 물론 외과 수술기구 시장 전반에서 게임체인저로 부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율룬 왕 소바토 회장은 “원격 로봇수술은 외과 의료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혁명적으로 바꿀 수 있다”며 “미래 의료 기술의 핵심이 될 리브스메드와의 이번 협력이 전 세계 의료 불평등 해소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