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캘리포니아대 샌디에고 캠퍼스(UCSD), 스페인 국립암연구센터(CNIO) 공동 연구진은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미 등 28개 지역의 비흡연자 폐암 환자 871명의 종양 DNA를 전장유전체시퀀싱(WGS)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대기오염이 흡연과 유사한 유전적 돌연변이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미세먼지(PM2.5) 노출이 높은 지역에 사는 비흡연자의 폐암 종양에서는 흡연 시 생기는 유전자 변이 수가 평균 3.9배, 노화 관련 변이는 76%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대기오염 농도가 높은 지역에 거주한 환자일 수록 유전자 손상정도가 뚜렷하게 높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연구진은 암 환자들의 염색체 말단(텔로미어)이 짧아져 있는 점에도 주목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세포 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생물학적 신호로, 오염물질이 전반적인 세포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UCSD의 루드밀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흡연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서 폐암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의문이었다”며 “이번 유전체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이 그 원인 중 하나임이 명확해졌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연구진은 일부 전통 한방 약재 등에 포함된 발암물질 아리스톨로킥산(Aristolochic acid)이 비흡연자 폐암 환자에게서 특정 유전적 변이로 발견된 점도 소개했다. 아리스톨로킥산은 기존 방광암, 간암, 신장암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지만 폐암과의 연관성은 처음으로 제기됐다.
이에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대기오염뿐 아니라 알려지지 않는 발암 유발 요인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며 “원인을 알 수 없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 패턴이 다수의 환자에게서 발견됐다”라고 밝혔다.
향후 연구진은 “전자담배, 마리화나, 라돈, 석면 등의 요인에 대해서도 유전체 분석을 이어갈 것”이라며 “비흡연자 폐암 환자의 데이터베이스(DB)를 확장해 라틴아메리카, 중동 등으로 연구 지역을 넓힐 예정”이라고 밝혔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