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최대 피해를 입은 곳은 중국 다음으로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동맹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지난달 27일 발간한 ‘미국 실효 관세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실효 관세율 추정치는 중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실효 관세율은 총수입액 대비 총관세 징수액 비율이다. 실제 수입품에 적용되는 평균 관세 부담 수준을 보여준다.
자동차, 알루미늄·철강, 석유·가스, 의약, 구리 등 기타, 전자·반도체 등을 모두 고려해 계산한 실효 관세율 추정치는 중국이 41.4%로 가장 높았다.
전년 10.7%에서 30%포인트 넘게 오른 수치다.
중국 다음으로 일본과 한국이 각 16.5%와 15%로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일본과 한국의 실효 관세율은 각 1.5%와 0.2%였다.
일본과 한국의 4월 실효 관세율은 각 9.4%와 5.5%였다.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25%에서 50%로 인상되면서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각 10.9%, 12.1%에서 7.5%와 9.5%로 감소했다. 해당 국가들이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준수를 강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피치는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23일 품목별 관세 대상인 철강 파생상품에 가전을 추가하면서 한국의 실효 관세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다음 달 1일부터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반도체와 의약 등 품목 관세도 예고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