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글로벌 대중문화계를 강타하면서 ‘가상 아이돌 시대’의 새로운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유력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차트를 장악한 K팝 그룹은 실제가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렇게 톺아봤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퇴마사이자 K팝 걸그룹인 헌트릭스가 악령이자 K팝 보이그룹인 사자보이즈를 물리치는 이야기다. 헌트릭스는 우리 전통 예인의 궁극이기도 한 무당, 사자보이즈는 여전히 다양하게 해석되는 저승사자를 모티브로 삼았다.
이들 그룹 캐릭터의 실제 목소리와 노래를 맡은 배우와 가수는 각각 따로 있지만,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는 사실상 가상의 그룹이다.
WSJ는 가상그룹들인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가 실제 K팝 스타들이 달성하지 못한 경지에 도달했다고 전했다.
사자보이즈 멤버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은 K팝 그룹 ‘유키스’ 출신 케빈 우를 예로 들었다. 이전까지 그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1만명 수준이었다. 하지만 그가 미스터리 보컬을 맡은 사실이 알려진 이후 월간 청취자 수는 2000만명으로 폭증했다.
또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삽입된 헌트릭스 ‘골든’과 사자보이즈의 ‘유어 아이돌’은 미국 스포티파이 ‘데일리 톱 송’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 1위를 차지한 글로벌 슈퍼 K팝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다이너마이트'(3위)도 해당 차트에서 기록하지 못한 성과였다.
UCLA에서 K팝을 비롯 한국문화를 연구하는 김석영 교수는 WSJ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팬들이 인간이 아닌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다는 성공 사례를 보여준다. 향후 모방 콘텐츠가 쏟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잠도 안 자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이라는 K팝 회사들의 오랜 꿈이 실현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로 인한 음악 차트 지각변동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는 ‘빌보드 200’ 최신 차트인 26일 자에서 5위를 차지했다. 지난 주 자체 최고 순위인 2위에서 3계단 하락했으나 자체 주간 판매량은 8만5000장으로 가장 많다. ‘빌보드 200’ 톱10에 진입한 후 2, 3, 4주차에 걸쳐 판매량이 증가한 유일한 OST다.
한국 최대 음원 플랫폼인 멜론 톱100에선 ‘골든’과 ‘소다 팝’이 나란히 1위와 2위를 달리고 있다.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CEO는 최근 2분기 실적 발표 직후 가진 콘퍼런스 콜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중요 콘텐츠로 꼽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