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서 “미국의 역사 대부분에서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위대한 전략적 자산이었다”면서 “그러나 오늘날 고등교육의 상당 부분은 그 본래의 길을 잃었고, 이제는 ‘워크(WOKE·보수 진영에서 진보적 정체성 정치를 비판할 때 쓰는 표현)’, 사회주의, 반(反)미적 이념으로 우리의 청년과 사회를 타락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학들이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는 차별적 관행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며 “우리의 위대한 교육기관들은 다시금 ‘집단 정체성’보다 능력과 노력을 우선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모든 미국인에게 새로운 연구와 기회가 열리고, 기업·법원·문화 전반에서 진정한 평등이 존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불법적으로 차별하는 대학들에 대해서는 연방법을 신속하고 강력하게 집행할 것”이라며 “반면 진리와 성취의 본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기관들은 연방정부와 ‘미래지향적 협약’을 맺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추진 중인 ‘고등 교육의 학문적 우수성을 위한 협약’에 대학들이 동참을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협약에 참여하는 대학들은 연방법을 준수하고, 모든 학생·교직원의 민권을 보호하겠다고 약속해야 한다”며 “또한 인종차별적 입학정책을 중단하고, 교수 채용에서의 불공정·불법적 차별을 폐지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들은 높은 교육 품질 기준, 사상과 토론의 자유가 보장된 개방적 학문 환경, 정치적 중립성, 학생을 위한 등록금 부담 완화, 그리고 외국 자금의 유입 차단 등 여러 개혁 조치를 이행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9개 대학에 협약 서명을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협약에는 입학·채용 과정에서 인종과 성별 고려 금지, 외국인 학부생 비율 15% 제한, 대학입학자격시험(SAT) 또는 유사 시험 점수 제출 의무화, 등록금 5년 동결 등의 조항이 포함돼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협약 서명 대학에 상당한 규모의 연방 지원금을 포함한 재정적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서한에서 밝혔다.
서한을 받은 대학은 다트머스대, 펜실베이니아대,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브라운대, 밴더빌트대, 애리조나대, 서던캘리포니아대(USC), 텍사스대, 버지니아대 등이다.
이 가운데 MIT는 “과학 연구에 대한 재정 지원은 오로지 과학적 성과에 기반해야 한다”며 협약 서명을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