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유사시 개입’을 언급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 이후 중국과 일본의 걀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한·중·일 정상회의도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화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여부에 대해 “중·일·한 3국은 제10차 중·일·한 정상회의 회기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마오 대변인은 이어 “최근 일본 지도자가 대만 문제에 대해 공공연히 잘못된 발언을 발표해 중·일·한 협력의 기초와 분위기를 해치고 현재 중·일·한 정상회의를 개최할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이유를 내세웠다.
앞서 일본은 내년 1월 자국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한국과 중국에 타진했으나 중국이 제안을 거부했다고 지난 22일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한 바 있다.
2008년부터 연례적으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의 올해 의장국인 일본은 당초 연내 개최를 추진했다가 임시국회 일정 등을 고려해 내년 1월에 3국 정상회의를 여는 방안을 조율해왔다.
그러나 최근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으로 중·일 관계가 냉각되면서 중국 측이 외교 경로를 통해 관계국에 “(다카이치) 총리가 적절히 대응하지 않았으므로 정상회의에 응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내용을 이날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중국 외교부는 또 일본 측이 관련 발언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마오 대변인은 “우리는 일본이 중국의 우려를 엄숙히 받아들이고 대만과 관련한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며 실제 행동으로 대화의 성의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일본이 대만 문제에 대해 ‘일관적 입장’을 언급한 것에 주목했다”며 “하지만 일본의 소위 일관된 입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일본은 이 일관된 입장을 완전히 공개적으로 서술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만약 일본이 입장 불변이라는 개념만 반복해서 강조하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명확히 하지 않고 행동으로는 계속 선을 넘는다면 이러한 반복은 빈말일 뿐이며 ‘하나의 중국’ 입장을 허물고 비우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아울러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방위상이 지난 23일 대만과 가까운 요나구니섬을 방문해 자위대 기지를 시찰한 데 대해서도 마오 대변인은 “일본이 대만과 인접한 서남 제도에 공격형 무기를 배치해 의도적으로 지역 긴장을 조성하고 군사 대립을 조장하는 것이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잘못된 발언과 연계되면 매우 위험하고 주변 국가와 국제 사회의 높은 경계심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마오 대변인은 이어 “일본 우익 세력이 평화헌법의 제한을 적극적으로 깨고 무력을 남용하는 길에서 점점 더 멀리 나아가 일본과 지역을 재앙으로 몰고 있다”면서 “중국은 일본 우익 세력의 역사 퇴행을 허용하지 않고 외부 세력이 대만 지역에 개입하는 것을 절대 허락하지 않으며 일본 군국주의가 부활하는 것을 절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