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이어 한국에도 불같이 일어나는 미투운동을 보면서 문화인류학자로서 한국과 미국의 미투운동에 중요한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게 된다.
차이점 하나는 한국에서는 여러 사람 보는데서 성추행이 다반사로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는 성추행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함께 있었던 사람들이 성추행을 목격하면서도 전혀 제지하지 않았으며 후에도 쉬쉬하며 침묵했다는 것을 뜻한다.
반면에 미국 여성들이 겪은 성추행은 대체로 호텔 방이나 사무실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두 사람만 있었을 때 주로 일어났다. 미국사회에서 여러 사람 있는 자리에서 드러내놓고 성추행을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것은 마치 여러 사람이 목격하는 장소에서 범죄를 저지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또 다른, 그리고 관련된 차이점 하나는 성추행 사실이 폭로된 직후의 사람들의 반응이다.
미국의 유명한 영화제작자 와인스타인의 성추행과 강간 등이 오랜 기간을 두고 지속되었음이 속속 밝혀졌을 때 미국 영화계 사람들 그 누구도 미투운동에 뛰어드는 여성들을 성질 더럽다거나 혹은 미국 영화계를 망신시켰다고 비난하지 않았다. 영화제작자 모두를 성추행자로 보지 않을까 걱정하지도 않았다.
반대로 한국에서는 최영미 시인이 성추행하는 시인 고은을 빗대어 시를 쓴 것이 대중에게 알려졌을 때 고은 측의 문인 들은 최영미가 다수의 선량한 문인들이 성추행자들인 것처럼 오해받게 만들고 있다고 오히려 최영미를 비난하였다. 그들은 혹시라도 원로 시인의 성추행 이력이 그의 노벨문학상 수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것에 더 짜증내고 걱정하였다. 그들은 고은이 대표하는 ‘민족문학’의 위상이 추락되는 것에 대해 더 걱정하였다. 그들은 누군가의 인권을 무참히 짓밟는 일에 동조하고 침묵했다는 사실에 죄의식을 갖기보다 남들이 어떻게 볼까 전전긍긍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을 연구한 루쓰 베네딕트가 구분한 수치의 문화와 죄의 문화를 상기시킨다. 루쓰 베네딕트의 구분을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죄의 문화에서는 도덕의 절대적 기준이 있고 양심에 따라 행동할 것을 강조한다. 물론 죄의 문화에서도 수치심을 느낄 수 있지만 어떤 행동을 제재하는 데 있어 죄의식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주로 죄의식 때문에 선행을 하게 되며 아무도 자신의 비행을 알지 못해도 죄의 고통, 즉 양심의 가책을 받는 고통을 느끼게 된다. 이 죄악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고해성사를 한다. 양심이 마비되어 더 이상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반사회적인 인간으로 규정된다. 아이들에겐 어릴 때부터 잘못할 때마다 일관되게 벌을 줌으로써 보편적인 도덕적 가치를 아이의 내면에 심어준다.
반면에 수치의 문화에서는 내면화된 죄의 관념이 아니라 외부적 제재에 의해 주로 선행을 하게 된다. 외부적 제재는 바로 남들로부터 비난 받거나 모욕당할 때 느끼는 수치심 혹은 부끄러움이다. 예컨대 일본문화에서는 절대적으로 적용되는 도덕적 원칙과는 별 상관없는 ‘의무’와 ‘의리’를 실천할 것이 강조된다. 천황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는 각각 천황의 은혜,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으로 무조건 수행해야 하는 ‘의무’이다. 이 때 의무를 다하고 의리를 지키는 이유는 ‘이웃을 사랑하라’ 혹은 ‘거짓증언을 하지마라’와 같은 도덕적 계명과 별 상관이 없다. 부모가 악행이나 부정을 저질러도 자신은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아무 잘못없는 아내와 이혼을 할 수도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부모가 진 빚을 갚기 위해 아내를 사창가에 팔 수도 있다.
국가를 상징하는 천황에 대한 충성 또한 맹목적이어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인들은 그 전쟁의 목적이 정의로운가 아닌가에 관심이 없었다. 천황이 연합군에게 항복한다고 선언했을 때 일본인들은 아무런 도덕적 갈등없이 천황의 명에 복종하고 연합군의 상륙을 진심으로 환영할 수 있었다. 천황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 이외에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타인에게 의리를 지키는 이유 역시 보편적 윤리강령 때문이 아니다. 의리를 지키지 않으면 ‘의리를 모르는 인간’이라는 소리를 듣게 되기 때문이며 이는 아주 수치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의리를 지키는 일은 때로는 폭력이나 개인적 복수도 동반한다.
의무를 다하고 의리를 지키는 것이 삶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일본 문화에서 자신의 감정과 감각에 충실할 수 있는 쾌락의 영역이 존재한다. 미국의 죄의 문화와 달리 술에 취하는 것 그리고 아내가 아닌 여자를 상대로 육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것이 죄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단지 쾌락의 추구가 인생의 중대한 의무와 의리를 망각하게 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용인된다. 이 사회에서 이상적인 인간은 스스로 생각해서 올바른 일을 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중하는’ 사람이다. 일본 문화에서 ‘자중하는’ 것은 남들의 비난을 사거나 성공할 기회를 상실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을 말한다. ‘자중하는’ 사람은 적절하게 의무를 수행하고 의리를 지키며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며 살아간다.
한국의 미투운동에서 성추행이 일어난 문화적 맥락은 루쓰 베네딕트가 분석했던 70여년 전 일본의 군국주의 혹은 전체주의적 문화와 어느 정도 닮아 있다. 단지 한국적 상황에서는 국가를 상징하는 천황이라는 지고지순의 존재에 대한 충성이 ‘민족’, ‘민중’, ‘공동체’ , ‘교회’ 등에 대한 충성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고은의 측근 문인들에겐 성추행을 폭로하고 바로잡는 일은 민족문학을 대표하는 고은이라는 절대지존에 누가 되는 일이었다. 유신 때부터 반독재 투쟁을 하며 많은고초를 겪었고 민족의 아픔에 대해 시를 썼다는 이유로 그의 성추행은 사소하고 사사로운 일탈로 묵인되었다. 일본에서처럼 한국의 ‘기생문화’에서도 남자의 음주와 성적 쾌락의 추구가 부도덕하게 생각되지 않았고 어느 정도 용인되었다. 루쓰 베네딕트의 분석이 예측할 수 있듯이 문단 사람들은 ‘자중하여’ 민족문학을 대표한다는 ‘위대한’ 시인의 성추행을 제지하지 않았고 그 덕분에 그들은 문단 권력과 자산을 배분받고 승승장구 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최영미가 ‘자중하지’ 않고 용기내어 대중에게 폭로했을 때 이들이 격렬히 최영미를 비난한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최영미는 ‘자중하라’는 수치의 문화의 규칙을 깨부셨기 때문이다.
작금의 미투운동은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인권이 절대적인 도덕가치가 아니었음을 잘 보여준다. 특히 고은의 성추행은 진보적이라고 생각되었던 ‘운동권’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일본의 70여년 전 군국주의적 전체주의에 기반을 둔 수치의 문화 수준에서 별로 진전되지 못했다는 것을 드러내준다. ‘위대한 수령동지’를 일본천황의 수준처럼 신격화한 북한 사회의 인권의식 또한 일본의 군국주의 문화수준보다 낫지 않으리라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나는 이제야 알 것 같다. 민주화의 첨병으로 나섰던 ‘운동권’이 왜 북한의 인권문제에 그동안 침묵했는지. 그들의 ‘수치의 문화’에 내재된 허약한 인권의식이 ‘위대한 수령 동지’를 신격화한 북한 사회의 인권의식보다 별로 나은 것이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 김은희 교수는 서울대 의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문화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학 중앙연구원 전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일제시대의 가족변화에 관한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다. 주요 논문으로 “From Gentry to the Middle Class: The Transformation of Family, Community, and Gender in Korea”(박사학위논문), 「도시 중산층의 핵가족화와 가족 내 위계관계 변형의 문화적 분석」(『한국문화인류학』, 1995), 「문화적 관념체로서의 가족: 한국 도시 중산층을 중심으로」(『한국문화인류학』, 1995), “‘Home is a Place to Rest’: Constructing the Meanings of Work, Family and Gender in the Korean Middle Class”(Korea Journal, 1998), “Mothers and Sons in Modern Korea”(Korea Journal, 2001), 「대가족 속의 아이들: 일제시대 중상류층의 아동기」(『가족과 문화』, 2007) “도시 중산층 기혼여성의 취업과 부부 역할:’자기 일’의 정치학”등이 있다.
🔺 실린 김은희 교수의 글의 저작권은 전적으로 김은희 교수에게 있습니다. 무단전재는 저작권법에 위배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김은희 칼럼🔺 (5) ‘거짓 부추기는 문화’:촛불은 정직한가?
김은희 칼럼(4)🔺”사랑 하든지 말든지”: 박원순과 형사 콜롬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