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에서 구매한 코로나19 백신이 접종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폐기처분되는 신세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저소득국가에서는 백신 접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질병통제에방센터(CDC)를 인용해 지난 2020년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 약 9060만회분의 백신이 폐기됐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도입한 전체 백신 7억6200만회분의 약 11.9%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 가운데 1200만회분은 올해 5월 이후 폐기됐다. 시간이 지날수록 폐기율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백신 폐기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독일 정부는 지난 6월 기한이 만료된 백신 390만회분을 폐기처분했다. 캐나다는 120만회분의 모더나 백신과 1360만회분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폐기했다.
스테판 벤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5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말하기 슬프지만, 우리는 지금 백신을 쓰레기통에 던져 버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WSJ는 “이제 전세계 인구의 대다수가 백신을 접종한데다, 소수만이 백신을 맞는 것을 주저하면서 접종에 대한 요구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전히 저소득 국가에서는 백신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선진국을 제외하면 백신을 저온으로 냉장해 유통하는 인프라가 부족하고, 전국민 접종을 위한 캠페인을 전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 코로나 백신공급 프로젝트인 코백스는 전파력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은 오미크론 변이의 등장으로 저소득 국가에서 백신 수요가 감소했다고 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아직 저소득 국가에 사는 10억명의 인구가 여전히 백신 미접종 상태이다. 백신 접종률이 가장 낮은 아프리카에서는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다.
보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백신의 보관 방법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코로나19 백신은 최소 5회, 최대 20회까지 뽑아 쓰도록 담겨 있다. 또 병을 개봉하면 약 12시간 이내에 사용하거나 남은 용량을 폐기해야 한다.
이에 1회분에 1회만 뽑아쓰는 1회용 백신을 사용하면 폐기처분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화이자는 “1회용 백신 개발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모더나는 질문에 답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