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27일로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한 가운데 인플레이션, 고용, 국내총생산(GDP), 금융시장, 제조업과 생산성 등 5가지 지표가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우선, 치솟는 물가로 인해 금리 인상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은 연준이 경제 상황을 바라보는 중요한 지표로 꼽힌다.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9.1% 상승하면서 연준이 1%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으나 시장은 0.75%포인트 인상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연준은 금리가 오르고 공급망이 회복됨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잡힐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아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PGIM채권의 엘렌 가스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인플레이션 지표가 높은 것도 문제였지만 매우 광범위했다는 점이 더 중요하다”며 “연준은 아직 인플레이션 둔화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 지표는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기준이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지난 4개월 동안 50여년 만의 최저치인 3.6%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미국은 현재 일자리를 찾는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일자리가 생기면서 뜨거운 상황이라고 진단한다. 하지만 경기가 의미있게 둔화하려면 고용 수치도 둔화될 필요성이 있다.
WP는 “연준의 목표는 신규 고용 수요를 줄이지만 실업률이 급등하지 않을 정도로 경제를 냉각시키는 것”이라며 “문제는 연준이 이같은 목표를 정밀하게 해내기는 어렵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이 금리를 올릴수록 실업률은 다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현재 금리 인상 계획이라면 일부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경기 침체를 우려하면서 고용을 늦추거나 정리해고를 진행하고 있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빅테크 기업을 비롯해 골드만삭스, 웰스파고 등 은행들도 몸집 줄이기에 들어갔다.
다만 고용 지표가 언제 둔화될지 예상할 수 없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긴 했지만 경기 침체가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수준은 아니다.
로베르토 펄리 파이퍼샌들러 글로벌 정책 책임자는 “보통 경기 침체는 천천히 시작한다”며 “가장 취약한 기업들, 가장 노출이 심한 기업들이 채용을 늦추고 해고를 시작한다”고 말했다.
GDP도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전미경제분석국(NBER)은 28일 2분기 GDP를 발표할 예정인데 주요 선진국의 성장이 둔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도 비슷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침체 여부는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판단을 내린다. 이론적으로는 GDP가 2분기 연속 위축될 때를 경기 침체로 규정하지만, NBER은 소득, 제조업 활동, 고용 등 다양한 지표를 조사한 후 판단한다.
펄리는 “현재 미국은 2분기 이상 GDP, 고용 시장의 마이너스 성장이 필요하다. NBER는 이것을 경기침체로 정의하지 않을 것”이라며 “연준은 지표가 부정적이라도 금리 인상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도 경제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지표이다. 올해 주식시장은 인플레이션 영향과 지속적인 금리 인상 등으로 급락을 거듭했다.
연준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나 예상치 못한 동요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주가 지수를 주요 지표로 활용한다. 다만, 증시가 부침을 겪고 있다고 해서 자신들의 노선을 변경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제조업과 생산성도 중요하다. 연준은 제조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제조업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 수요를 반영해 다양한 경제 활동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공급관리협회(ISM)의 지난달 제조업 설문조사를 보면 신규 수주 물량이 2년 만에 위축된 것으로 나타나 경기 둔화의 가능성을 보였다.
PGIM채권의 엘렌 가스케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계속 투자한다는 긍정적인 전망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인플레이션을 낮출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